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하
추락
침강
침하
d라이브러리
"
하강
"(으)로 총 279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그 세력이 강해진다. 반대로 저위도의 상승기류를 보상하기 위해 위도 15~35°에서도
하강
기류가 강화된다. 이런 순환의 영향으로 아열대 고기압이 강화되며 이는 고기압 아래 사막을 더욱 확장시킨다. 가뭄으로 갈라지는 땅 한 쪽에선 폭우가…이런 결과는 최첨단 기후 모델들로 예측한 미래 기후 ... ...
예상보다 짧은 맨틀의 순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들어갔다가 상승하는 맨틀을 따라 지구 표면으로 나온다. 일본의 동쪽 해안 지층이
하강
하는 맨틀의 영향으로 가라앉고, 하와이 제도가 기둥처럼 솟아오른 맨틀, 즉 열점의 영향으로 생성된 대표적인 지역이다.이제껏 과학자들은 지각이 내부로 들어갔다 다시 나오는 데 약 20억 년 정도 걸릴 것으로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꼬리 부분에 수평으로 있는 작은 날개로 발전했다. 각도를 바꿔가며 비행기를 상승
하강
시킨다.플라이어 1903이 날 수 있는 최대 속도는 시속 60∼70km에 불과하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보다 느린 셈이다. 날개 면적이 넓고 엔진 출력이 낮기 때문이다. 당시 라이트 형제는 12마력 엔진을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기류가
하강
할 때 다른 편에서는 상승하는 기류가 나타나는데, 가끔은 이 상승기류가
하강
기류보다 더 강해지면서 거스트나도가 된다. 나쁜 날씨에 발생하기 때문에 생성원인이 다르고 회전속도도 느리지만 토네이도로 오인하기 쉽다.호주에서 ‘윌리윌리’라고 부르는 더스트데블(dust devil)은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왜 거대한지 아세요? 슈퍼셀 중간에는 0℃ 라인이 있는데요. 얼음알갱이가 상승기류와
하강
기류를 타고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이 경계를 넘나듭니다. 녹았다가 얼었다가를 반복하면서 점차 부피가 커지죠. 그래서 슈퍼셀에서 쏟아진 우박을 반으로 갈라보면 나무 나이테처럼 수많은 얼음 층을 볼 수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탈피하기 위해 몸을 고정시키는 흡착판을 만든다. 또 천적으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급히
하강
해 자신이 매달릴 수 있는 명주실을 만들고 궁극적으로는 고치를 만든다. 실을 만드는 방적돌기도 어른벌레에는 없는 애벌레만의 특징이다. 애벌레의 여섯 개의 옆 홑눈은 이마 양 옆에 반원모양으로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수로 나타내고 a : b 꼴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활공비가 10 : 1이면 이 새는 100m 아래로
하강
할 때마다 수평으로 1km(=1000m)만큼 날아갈 수 있는 있다는 뜻이죠.서로 다른 활공비를 가진 새 또는 비행기는 비의 값을 구해 그들의 비행능력을 비교해요. 예를 들어 그림으로 살펴볼게요. 만약 갈매기와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봅시다. 눈으로 보기에도 활공각이 서로 다르잖아요. 활공각이 작은 비행기일수록
하강
한 높이가 같을 때 더 멀리 날아 더 천천히 착륙할 수 있어요. 일반적인 비행기는 착륙할 때 적당한 높이에서 엔진을 끄고 활공비행으로 착륙하는데, 활공각이 작은 비행기일수록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는 ...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낮으나 신축성이 높은 천연고무와 같은 성분이다.어떤 애벌레들은 공격을 받으면 급히
하강
할 수 있는 명주실을 토해 실에 매달려 있다가 안전해진 뒤에 다시 줄을 타고 올라온다. 천적이 눈치 채지 못하게 때로는 빠르게 토해낸 실로 몸을 감아 거의 보이지 않게 하고 대롱대롱 매달린 채 미동도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어느 지역에서 바닷물이 솟아 오르면 다른 지역은
하강
하게 마련이다. 국지적으로는 탄소 감소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전체적으로는 균형을 이룰 것이므로 효과는 아직 미지수다. 하늘은 기후학자들이 가장 먼저 지구공학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은 곳이다. 1991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