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밤중
심야
자시
자정
미드나이트
심경
d라이브러리
"
한밤
"(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비비거나 울림판 등으로 소리를 내는데, 이것은 교미를 위한 일종의 생존 수단이다.또한
한밤
중에 울어대는 개구리 소리는 번식기에 수컷이 암컷을 부르는 소리다. 허파로 들이 쉰 공기를 울음주머니 속으로 내뱉거나 울음주머니 속의 공기를 허파로 들이쉴 때 성대가 진동하면서 소리를 내는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있는 두 행성 천왕성과 해왕성도 충의 자리를 지난다. 여름철에 외행성이 충이 되면,
한밤
중에 남쪽 하늘에 뜨고 거리도 가까워지므로 관측하기에 아주 좋다. 현재 물병자리에 있는 천왕성은 8월 25일 충을 맞이하는데 8월 30일 충이 되는 화성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놓인다. 이 무렵 천왕성은 화성에서 ... ...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텍사스 주립대의 도널드 올슨 교수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올슨 교수는 2000년 여름 ‘
한밤
의 하얀 집’의 배경이 된 프랑스 파리 서북쪽의 작은 마을 오베르 쉬르 우아즈를 찾았습니다.올슨 교수는 인구 5천명의 이 마을을 샅샅이 뒤져 그림 속의 집을 찾아냈다고 합니다. 고흐가 그림을 그린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1924년 대접근 때보다 근소하나마 더 크게 보인다.보기 드문 대접근 현상의 주인공 화성이
한밤
중이면 이제 서서히 동쪽하늘에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화성은 현재 염소자리와 물병자리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점차 동쪽으로 자리를 옮겨가고 있다. 지난 5월 14일 화성은 해왕성에서 불과 2° 가량(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1일 경우 1백의 5제급근인 2512배만큼 차이가 난다 이 때 등급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
한밤
중 일정한 고도에서 볼 수 있는 북극 부근의 별 몇 개를 이용한다 이것이 북극광도계열 이를 기준으로 하면 일등성의 밝기는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높이에 이르면 미리 장전된 쇠알이 굴러 떨어지면서 북이나 징을 울리도록 설계됐다.
한밤
중이라도 자격루가 저절로 울리면 문지기들이 북과 징을 쳐서 보신각에까지 전달했다. 현재 세종문화회관 근처와 광화문 사거리, 그리고 광화문 우체국 건너편에 집을 지어 여기에 모두 북과 징을 설치했다. ... ...
토성 1년만에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둘레를 감싸고 있는 고리에서 틈새를 확인해보자. 또 위성 타이탄도 찾아보자. 요즈음
한밤
중에 하늘 위를 쳐다보면 보석처럼 빛나는 별을 여럿 발견할 수 있다. 사계절 가운데 밝은 1등성이 가장 많이 보이는 계절이 바로 겨울이다. 이렇게 밝은 별들 중에서 낯선 별이 하나 눈에 띈다. 노란빛을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아마겟돈을 주의 깊게 살펴보자. 첫번째,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소행성을 발견한 시각은
한밤
중이었으며 망원경은 높은 각도로 하늘을 향해있다. 이는 소행성의 방향이 태양 반대편이라는 뜻이다. 두번째, 브루스 윌리스가 소행성을 폭파시키는 마지막 장면을 보면 소행성은 지구와 태양의 수직 ... ...
뜨거운 6월 태양 가리는 부분일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한 햇빛을 차단하자일식은 해가 떠있는 밝은 때에 일어난다. 대부분의 천문현상이
한밤
중에 벌어져 일반인들이 접하기 어려운데 비한다면 큰 장점이다. 일식은 밝은 때에 일어나므로 그 시간에만 주의를 기울인다면 누구나 볼 수 있다. 또 다른 천문현상과 달리 일식을 보는데는 굳이 천체망원경이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 물리학자에 의해 증명된 예를 소개했다. 타이정글에서
한밤
중이 되면 반딧불이가 일제히 동시에 깜박 거리는 자연현상, 심장세포들이 동시에 수축해서 심장이 뛰는 생체현상, 그리고 수천억개 뇌 신경소자가 함께 번쩍거리면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일이 모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