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
형상
잔해
d라이브러리
"
형체
"(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맨눈으로 보면 상당히 큰 무엇인가가 있다는 느낌이 들게 하지만 뚜렷한
형체
를 알기란 어렵다. 좀더 뚜렷이 보기 위해서는 쌍안경같은 보조도구를 이용해야 한다.전형적인 나선은하쌍안경에서 보이는 모습은 좀 색다르다. 다른 은하들과 마찬가지로 경계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어디까지가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그림). 탐사 도중 이상 물체가 발견되면 그 크기와
형체
를 판별했다. 그리고 침몰선과 크기가 같거나 작은 형태의 이상 물체를 선별했다. 1912년 4월 타이타닉호가 침몰하면서 두동강이 났다는 점을 감안해 돈스코이호도 침몰할 때 해저 암반과의 충돌로 같은 현상이 ... ...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시작된다. 이 시기에 시체는 부풀어올라 거인처럼 변하기 때문에 가족조차도 그
형체
를 알아볼 수 없다. 이 시기가 되면 초기 시체현상도 모두 사라져 썩고 있는 유기물(시체)을 먹고 사는 부식자를 연구해야만 사망원인과 사후 경과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파리가 알려주는 사망시간사망 후 시체에 ... ...
명배우 뺨치게 연기하는 사이버 배우, 시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완벽한 사이버 배우 시몬을 탄생시킬 수 있었다.3D 맥스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
형체
와 질감을 창조하는 아티스트에게 중요한 것은 컴퓨터를 다루는 능력이 아닌 아름다움을 상상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감각이다. 아티스트에게있어 컴퓨터는 기계가 아닌 작업 도구이자 장난감에 불과하다. 그리고 ... ...
3. 스스로 충돌 피하고 고장 대처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반사돼 레이더에 잡힐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 방법이 적용된 F-117의
형체
는 공기역학적인 효율을 완전히 무시한 이상한 모습이다. 이로 인해 비행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닌다.신형 B-2 폭격기에는 엔진의 공기흡입구를 위쪽으로 옮기고 수직 꼬리날개를 없애는 등 기체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DNA가 크게 변형돼 유전자 감식 방법으로 신원을 밝히지 못할 수도 있다.그래도 두개골의
형체
를 복원해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영상이나 물체를 이중으로 겹치게 하는 사진기술인 슈퍼임포즈법(superimpose method)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유골로 남은 두개골과 사망자로 추정되는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약한 물질의 표면에 눌러 반복적으로 원하는 나노구조물을 제작한다. 압축시켜서 원하는
형체
를 찍어내는 고전적인 공정기술과 기본원리는 비슷하다. 때문에 그리 복잡하지 않은 공정기술로 보인다.그럼에도 나노임프린트 공정기술은 이제 막 시장에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생각만큼 이 ... ...
영생의 꿈 실현하는 현대판 미라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plastic)에서 따왔다. 성형외과를 의미하기도 하는 플라스틱은 원래 ‘찰흙 따위로 어떤
형체
를 만드는’이라는 뜻이 있다. 합성수지를 이용해 사후의 시신을 새롭게 만든다는 의미에서 플래스티네이션이라는 용어를 붙인 것이다.플래스티네이션의 기본 원리는 인체 내 모든 지방과 수분을 합성수지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의사와 간호사들은 재빨리 건물 밖으로 피신했으나 미처 빠져 나오지 못한 수용자들은
형체
를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불에 탔다고 경찰은 전했다. ‘에르와디’라는 이름의 이 마을은 정신병 치료에 영험한 것으로 알려진 성지마을로 30여개의 정신병원이 있는데, 잠을 잘 때는 수용자들이 ... ...
모델이 질겁한 8시간 노출 사진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사진기는 19세기 초 프랑스의 니엡스가 발명한 헬리오그래피인데, 사진에 찍힌 피사체의
형체
가 뚜렷치 않아 별 주목을 받지 못했다. 사진을 인화할 수 있는 기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빛의 노출시간을 조절하는 셔터도 발명되지 않아 노출시간이 무려 8시간이나 됐다. 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