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umber"(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잘못 알려진 코리올리 효과과학동아 l1997년 03호
- was always cyclonic.Why do teachers claim that a draining sink reflects the rotation of the earth?A surprisingly large number of my undergraduate students tell me that their high-school teacher ...
- 행성의 이름은 어떻게 짓는가과학동아 l1997년 01호
- three syllables are preferred. Exceptions are allowed for persons or mythical characters known by double names.2. The number of names chosen for each body should be kept to a minimum, and their ...
- 허리케인의 모든것과학동아 l1996년 12호
- some hard lessons about hurricanes.Since 1965,the area has been hit hard by three very serious storms,as well as a number of minor ones.In 1965,Hurricane Betsy,after hitting the trip of Florida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과학동아 l1996년 12호
- 일곱가지색으로 분산시키는 것은 색수차 현상을 이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마하수(Mach number)라고도 한다 유체의 속도와 그 유체 속을 전파하는 음속과의 비 기호는 M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유체가 정지해 있을 때는 물체의 속도와 유체 속의 음속의 비를 의미한다 보통 공기 속을 탄환 비행기 미사일 등 ... ...
- 인터넷으로 떠나는 수학퍼즐여행과학동아 l1996년 11호
- problems, weighing problems.What is the least number of weights that can be used on a scale pan to weigh any integral number of pounds from 1 to 40 inclusive, if the weights can be place ...
- 메모리 에러 응급처치과학동아 l1995년 09호
- 필요는 없다. v3.com 등으로 자주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면 되기 때문이다.▶ A bad UMB number has been specified상위메모리에 남아있는 영역이 없는데 lh(Loadhigh) 명령을 내렸을 때 나타나는 메시지다. autoexec.bat파일에서 lh를 지우면 된다.▶ Bad or Missing command interp ...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없다. 그런데 독자는 여기서 양성자의 개수나 길이나 시간, 질량에 무관한 '순수한 숫자'(number)라는 점에 주목하자. 물리학에서는 차원이 없는 이런 순수 숫자를 무차원숫자(dimensionless number)라고 하며 매우 중요시 여긴다. 왜냐하면 이런 숫자는 우리가 모르는 미지의 자연영역을 탐구해 들어갈 때 그 ... ...
- 인터네트 필수상식 25과학동아 l1994년 10호
- 경우가 많지만, 2개나 5개의 계층인 경우도 있다. 11. IP 번호란 무엇인가?IP 번호(IP number), 또는 IP 주소(IP address)는 인터네트의 호스트에 지정된 고유한 번호다. 주민등록번호가 주어지면 그에 해당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듯이, IP 번호가 주어졌을 때 그에 해당하는 인터네트의 호스트는 ... ...
- 지진은 도처에서과학동아 l1994년 08호
- scale of seismic activity. A tremor with a magnitude of 2 is hardly detectable by a human being. With each increase in number, the strength of the earthquake goes up about 30 times, and an eart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수치적 완벽성을 깨뜨렸다고 믿어진 '말도 안되는'(irrational) 숫자, 즉 무리수(irrational number)를 발견한 사람은 피살당했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지동설을 주장한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타르쿠스(Aristarchus)는 신변상의 위협에 시달려야만 했다.사상적 면죄부그래도 우리의 고대사상사에서 빛에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