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개
칼라
깃털
컬러
색상
색
깃대
어린이과학동아
"
깃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꾸룩새 연구소 2번째 방문기 - 제비 관찰 [1탄]
기사
l
20200609
끝나고 자유시간에는 기록실에 가서 정다미 소장님이 직접 만든 새도감과 먹이 잔존물 표본, 제비
깃
표본을 구경했다. 제비
깃
털을 어떻제 저렇게 다 뽑아서 액자에 정리해뒀는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직접 만든 새도감이 너무 멋지고 마음에 들어서 나도 저렇게 만들어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처음 도착했을 때처럼 ...
어서와, 꾸룩새 연구소는 처음이지?
기사
l
20200608
좀 구별이 되나요? 또 하나의 재미있는 사실! 이름에 올빼미나 부엉이가 들어가지 않는 소쩍새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소쩍새는 귀
깃
이 있지만 사실 올빼미과라고 합니다. [사진 설명 : 부엉이와 올빼미 구별법 (출처 : 기자가 그린 그림 촬영)] 이번 꾸룩새 연구소의 체험 주제는 '제비'였습니다. 저는 지난 해부터 학교에서 가야금병참부에 참여 ...
( 막말 중 )
포스팅
l
20200605
ㅌ ㅅㅈㄱㄴ진친ㅇㄴ깁ㄱ너ㆍㅂㄴㅅㆍㄱㅂㅅ넌ㅅㄱㅂ앇ㅂ입ㄱㅅㆍㅂㅅㄴㆍ
깃
ㆍ싯ㅂㅇㆍㅅ깅석ㅂㅇㅅㆍ빇ㆍ비억esrshs2uvxy7h1t6v6tvvyㅡㅇㄴㅂ긘ㅅㅂ늿ㅂ느식ㅂㄴ싀늣ㅂ승ㅂ기느읷ㅇ늣기느늫기능ㅅ기은깁ㅇ느빅능ㅂ기ㅡㄴㅇ느식은ㅂ기능깁느은ㅂ기능ㄱㅂㅇ늿긋ㅁ기ㅡㅇㅅㅇ싕근ㅇㅅ깅느능ㅅㅇㆍㄴㆍㅂㄴㆍㅂㄱㅂㆍㄱㆍㅂㄱ빊ㄹㅅㄴㅇㅅㅇㄴㅅㅇㄴㅅㅇㄹㅇㆍㅇㄴㆍㄴㆍㅇㆍㄴ읏ㅇㅈㄷ 드드ㅡ ...
라이노비틀즈 - 200506 - 1
탐사기록
l
20200506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탐사력에서 본 청띠신선나비 같긴 합니다.그리고 한쪽 날개를 심하게 다친 것 같네요.나뭇잎위의 물같은
깃
을 먹고 있었는데 사람들이 뿌린 물이 아니고 나뭇잎이 만들어낸 것처럼 보였어요.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 ...
아기새를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탐사기록
l
20200426
입가에 뭍은 노란거는 삶은달걀 노른자 먹인거에요) (저 빨간 동그라미에서 발견됨)특징-눈도 안뜸-가시
깃
나는거 보니 5~8일 된거같음-날개 가시
깃
이 검은색임-부리 노란색 입속 노란색그 밖 궁금점 댓글!!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 ...
생생허브르 - 200426 - 1
탐사기록
l
20200426
공원에서 애들이 모여있길래 보니까 이 애를 들고 물을 먹이려고 하고 있더라구요. 물어보니까 위에서 떨어졌다는데 둥지도 없고 어미가 버린 새끼라 밖에서 죽기전에 뭐라도 먹일려고 데려왔는데 무슨 새인지 좀 알려주세요ㅠㅠ(입가에 뭍은 노란거는 삶은달걀 노른자 먹인거에요) (저 빨간 동그라미에서 발견됨)특징-눈도 안뜸-가시
깃
나는거 보니 5~8일 된 ...
똑똑! 양재천에 놀러온 친구들 2: 왜가리
기사
l
20200418
주황색 부리도 책 속에서 튀어나온 것처럼 귀엽네요. 이런 댕기
깃
이 2~3개나 있다네요. 검은 줄이 눈에서 뒷머리까지 이어져 댕기
깃
을 이룹니다. 큰 새기는 하지만.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정말 꿋꿋하지요? 동상 같네요.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이 ...
독서지심부 - 200418 - 1
탐사기록
l
20200418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서울 남산에 올라보니 꽃 꿀을 따먹는 직박구리를 볼 수있었습니다.인터넷으로 미리 보고 가서 머리
깃
을 보고 알 수있었어요.남산에서 여러마리를 볼 수있어서 놀랐습니다.소리를 녹음했는데 직박구리인지는 살~짝 헷갈려요. ...
펭수가 아닌 펭귄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200224
생활에 적응된 해부학적 특성을 가진다. 견고하면서도 무거운 뼈를 가졌다. 날개는 딱딱하고 평평한 물갈퀴로 변하였다. 단단한
깃
은 방수 역할을 하고 완벽하게 물을 차단하는 물질을 생성한다. 각기 펭귄의 무게는 번식기 과정을 통해 극적으로 바뀐다. 펭귄의 엄마는 알이 생기면 아빠 펭귄에게 넘기고, 아빠 펭귄은 알을 품고 ,엄마는 먹이를 찾아 떠 ...
꾸룩새 연구소
기사
l
20191113
[사진설명 : 올빼미과 새들의 펠릿을 주워 만든 표본. 새의 종류마다 펠릿의 크기와 생김새가 다르다] [사진 설명 : 직접 수집한
깃
털들로 도감을 만들었음] 마지막으로 옆 방에 가서 펠릿을 분해했다. 펠릿을 분해하기 전에 펠릿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새는 이빨이 없어 먹이를 씹지 못한다. 펠릿은 소화하지 못하는 것, 뼈나 털 같은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