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사고고학
선사
뉴스
"
고고학
"(으)로 총 18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문화 교류' 근거 제시한 장신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후기 구석기’ 유물로 규정해 왔다. 후기 구석기에는 예술적 요소 등이 발견돼 유럽
고고학
에서는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 사이의 인지 능력 차이에 기반한 ‘혁명’의 결과라는 분석도 있었다. 이상희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인류학과 교수는 유튜브 채널 ‘이상희의 인류진화’에서 ... ...
현생인류 유럽 진출 예상보다 더 일렀다…4만5000년 전후 생활도구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주장했다. 장자크 휴블린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장팀은 불가리아 국립
고고학
박물관, 미국 뉴욕대팀과 공동으로 2015년 불가리아 베이초 키로 동굴에서 발굴된 고인류 화석과 유적을 재발굴한 뒤 이 같은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및 ‘네이처 생태진화’ 12일자에 발표했다. ... ...
[주말
고고학
산책]2000년전 고대 한반도의 국제항
2020.03.21
일러스트 리노 / 어린이과학동아 DB 경상남도 사천시 앞 바다에는 ‘늑도’라는 땅콩 모양의 작은 섬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섬은 한국에서 가장 많은 유물이 출토 ... 공부했다. 시흥 오이도 유적, 구리 아차산 4보루 유적, 연천 무등리 유적 등 중부 지역의
고고학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 ... ...
[주말
고고학
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
2020.01.18
일러스트 박장규 바이킹이라고 하면 보통은 뿔 달린 모자를 쓴 약탈자의 모습을 떠올립니다. 물론 바이킹은 강인한 전사였지만, 동시에 탁월한 항해가 ... 지역의
고고학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2020년 2호, [Go!Go!
고고학
자]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떠났을까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빌라 연구원은 “네안데르탈인의 해부학적 증거 외에도 모스세리니 동굴에서 확인한
고고학
적 증거는 네안데르탈인이 수생 자원을 이용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용케 아직까지 구조가 온전한 유전자 다섯 개가 남아있는 것 아닐까. 수천 년 전
고고학
발굴지에서 가끔 깨지지 않은 토기가 발견되는 것처럼 말이다. 생쥐의 페로몬 감지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해설을 읽다가 문득 ‘후각망울이 없는 여성들’ 논문이 떠올랐다. 무려 400가지가 되는 후각수용체의 ... ...
[과학도서]바닷 속 보물선은 누구 것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도자기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며 한국 수중
고고학
의 효시가 됐다. 이런 한국 수중
고고학
의 효시를 연구자가 직접 소개하는 책이 발간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미래를 꿈꾸는 해양문고’ 시리즈 제33권과 34권을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제33권 ‘바닷속 보물선은 ... ...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수 있었던 고대 아라가야의 왕묘의 모습과 가야의 발전된 천문사상을 실증할 수 있는
고고학
적 자료를 확보하는 성과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함안군 제공 ... ...
[주말
고고학
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일러스트 박장규 / 어린이과학동아DB '치느님'이라고 부를 정도로 맛있는 치킨을 최초로 먹은 사람은 누굴까. 인류는 언제부터 닭을 키우기 시작했 ...
고고학
유적 발굴에 참여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24호 (12월 15일 발행) [Go!Go!
고고학
자] 처음으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 ...
인류 最古 동굴벽화 기록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2
그림이 발견된 데 이어, 이번에 4만 3900년 전 사냥 그림이 발견되면서 인도네시아가 예술
고고학
의 중요한 현장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이번 발견으로 ‘벽화 예술이 동남아시아에서 먼저 탄생했다'거나 나아가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수출됐다’고 주장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형우 교수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