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옳음
정당함
뉴스
"
공정함
"(으)로 총 2,800건 검색되었습니다.
100% 식물로 만든 윤활기유, 탄소 배출량 35%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국제학술지 ‘그린 케미스트리’ 1월 표지논문 이미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100% 친환경 윤활기유를 제조할 수 있는 차세대 생산기술이 확보됐다. 해당 윤활기유로 만든 윤활유는 석유 기반 윤활유 대비 탄소 배출량을 35% 줄인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김용진 저탄소전환연구부문 수석연 ... ...
[과기원NOW] DGIST, 고용량·고안전성 양극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박경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교수.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경수 화학물리학과 교수와 박광진 가천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핵심부품인 니켈리치 양극재의 성능 저하 원인을 찾아냈다고 5일 밝혔다. 양극재는 리튬 이온을 저장하며 전기 ... ...
2월 과학기술인상에 이건재…면발광 마이크로LED 마스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2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에 선정된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차세대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전사기술로 ‘피부 밀착형 면발광 마스크’를 개발한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석좌교수가 2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 ... ...
中 희토류 자원에 의존하던 영구자석 국산화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중희토류 없이도 영구자석을 만들 수 있는 2단계 입계확산공정을 개발한 한국재료연구원 연구팀. 재료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중국 의존도가 높은 고가의 희토류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성능 영구자석을 제작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은 김태훈 나노재료연구본부 선임연구원, ... ...
스마트폰 '카툭튀' 없어질까…평면광학 한계 극복 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기존 광학 기술은 부피가 크고 무거운 렌즈나 ... ...
전기차 1회 충전으로 600km…두꺼운 고성능 배터리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전기차 보급 확대로 대용량 리튬이온배터리 필요성이 커지며 배터리 용량과 직결된 전극을 최대한 두껍게 만드는 설계가 주목받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두꺼운 배터리 전극을 개발했다. 배터리 용량을 늘려 충전 1회에 600km 이상 주행하는 전기차 개발에 도움이 ... ...
백금 사용량 10분의1 줄여 '수전해 셀' 생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KAIST 연구팀이 백금 촉매 사용량을 줄인 수전해 셀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소로 사용하는 백금의 양을 기존 대비 10분의 1로 줄인 수전해 셀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상용화된 촉매 대비 뛰어난 성능과 안정성을 갖춰 탄소 중립과 수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 ...
[인사] 울산과학기술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정보바이오융합대학 생명과학과장 최장현 △헬스케어센터장 정두영 △산학융합캠퍼스단장 양승준 △Pioneers교육혁신팀장 신현배 △교무처 새내기학부 팀장 조아라 △입학처 학부입학팀장 백승민 △입학처 대학원입학팀장 김지연 △학술정보처 문헌정보팀장 이영철 △ ... ...
양자컴퓨팅으로 복잡한 유체 난류 시뮬레이션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물이나 공기 같은 유체가 매우 복잡하게 움직이는 난류는 변수가 매우 많아 슈퍼컴퓨터로도 정확히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양자컴퓨팅 알고리즘으로 복잡한 자연계 문제인 난류(turbulent flow) 시뮬레이션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복잡한 시스템을 ... ...
우주에서 얻은 태양광 에너지 지구서 쓰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8
우주 태양광 발전 개념도. 칼텍 제공. 중국이 우주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프로젝트의 청사진이 최근 공개됐다.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온 우주 태양광 발전은 2020년대 들어 재사용 발사체로 발사 비용이 대폭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며 미국, 중국, 유럽 등에서 주목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