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구원"(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2019.01.08
-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고, 옮긴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존재를 위한 투쟁2018.12.23
- 것입니다. 메시아가 올 수도 있고, 정도령이 올 수도 있고, 미륵보살이 와서 중생을 구원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존재를 위한 투쟁에는 진보주의적 믿음이 자리할 곳이 없습니다.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인구는 필연적으로 굶주림과 갈등, 전쟁을 일으키게 됩니다. 보다 살기 좋은 ... ...
- 인류구원할 590마리 원숭이들이 사는 곳, 영장류자원지원센터 가보니2018.11.05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읍 영장류자원지원센터 전경. - 사진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4년에 걸쳐 건립한 세계적 수준의 영장류 지원센터 생명연은 급증하는 영장류 수요에 대비해 2014년부터 영장류자원지원센터를 구축해왔다. 7만 3424㎡의 부지를 확보하고 이곳에 10동의 사육동과 본관동,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조금 이상해도 괜찮아, 괴짜성의 진화 2018.09.02
- 아주 보편적인 현상이다. 우리 마음 속 UFO는 인류를 멸망시키기도 하지만, 반대로 인류를 구원하기도 한다. - MAXPIXEL 제공 괴짜의 보편성 괴짜성의 역설이 있습니다. 별난 생각과 행동이지만, 알고 보면 그리 별난 것이 아니라는 역설입니다. 이게 무슨 말일까요? 사실 괴짜성은 모든 사람이 ... ...
-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동아사이언스 l2018.08.24
- 활용한 식량 작물을 더 먼저 만날 것으로 추정했다. 식량 작물에서는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이 주도하는 바나나 개량을 인상적인 연구로 꼽았다. 그는 “하와이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 바나나에 친숙하다”며 “전 세계 바나나가 모두 똑같다 보니 감염성 질병이 유행할 경우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카리스마는 어떻게 진화해 왔나2018.06.17
- 인류는 늘 카리스마 넘치는 초인을 고대해왔습니다.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고, 세상을 구원해 줄 위대한 리더입니다. 오늘은 카리스마의 진화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인류는 늘 카리스마 넘치고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리더를 고대해 왔다. - 사진 GIB 제공 카리스마 원래 카리스마(charisma ... ...
- [세계측정의 날]전기요금, 온도측정 오류 없는 세상 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05.21
- 볼츠만 상수의 값은 그 단위를 kg m2s-2K-1으로 정의할 때 ‘1.380649X10-23’이다. 양 연구원은 이번에 새로 정의될 예정인 표준 단위값들에 대해 “과학기술과 산업 전반에 당장 눈에 띄는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며 “하지만 앞으로 이를 적용해야할 첨단 분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8 ... ...
- [테마영화] ‘버닝’으로 돌아온 이창동 감독의 영화 BEST 32018.05.12
- 하지만 아이는 싸늘한 주검이 되어 돌아온다. 깊은 슬픔에 잠긴 신애는 신으로부터 구원을 찾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아이를 살해한 유괴범 역시 신에게 용서를 받았다고 말한다. 극중 신애 역을 맡아 극을 이끌어 가는 배우 전도연의 연기는 관객들의 가슴을 저민다. 남편과 아이를 잃고 홀로 남은 ... ...
- 워너원 음성 분석의 힘...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05.10
- 자원봉사자와 식당 주인, 택시 기사, 외국인 등이 이 앱을 사용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AI가 학습을 거쳐 지금보다 훨씬 똑똑해질 전망”이라면서 “조만간 20개국 언어를 통역하도록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 과학동아 2018년 ... ...
- 생산량 최대인 고구마, 북한 식량부족 해결에 제격과학동아 l2018.04.29
-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을 개발하는 등 고부가가치 사업도 가능하다. 곽 책임연구원은 “255년 전 대마도를 통해 한반도로 들어온 고구마는 남한을 거쳐 북한까지 퍼졌다”며 “공동연구를 통해 북한의 식량난을 해결하고, 남한의 식량 수급불균형 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