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거
병거
부부생활
뉴스
"
동서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땅을 처음 밟은 이주민은 시베리아에서 건너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진출했고, 이 과정에서 동아시아에서 유래한 인류와 만났다. 이렇게 섞인 인류는
동서
로 나뉘어 일부는 지금은 사라진 고대 고시베리아인이 됐고, 일부는 미국 원주민의 조상이 됐다. 네이처 제공 이번 연구는 윌러슬레프 교수팀이 지난해 1월 네이처에 발표했던 논문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 ...
네이처 "WHO 새 질병분류기준에 중의학 포함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상황에서 WHO가 왜 이런 치료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네이처는
동서
의학이 서로에게 가하는 비판도 소개했다. 서양은 제대로 시험하고 정의된 원인을 통해 질병의 상태를 설명하고자 하며 따라서 통제된 임사시험과 통계적 증거가 필요하다. 하지만 중의학은 이런 관점이 ... ...
[전문가 일문일답]잇따라 발생한 동해 지진, 동해 대지진 전조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구조와 단층이니까 북쪽으로 형성돼 있는 울릉분지 경계면과 관련돼 있겠다고 추정한다.
동서
방향으로 압축응력을 계속 받아서 나타나는 단층활동이다.” Q. 지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는지? (홍 교수) “한국의 경우 동해 주변에서 지진 발생이 많이 증가한다. 동일본 대지진 전후로 증가하고 ... ...
연속적인 동해 지진, 활성단층 지도 없어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동해 해저 지질구조 정보를 바탕으로 남북 방향으로 형성된 울릉분지 경계면에 작용하는
동서
방향의 응력에 의한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한 상황이지만 정확히 어떤 활성 단층이 지진을 유발하는지 확인하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분석이다. 동해 해저 단층 지도는 1970년대 독일 연구팀이 국내 ... ...
“동해 지진, 동해 사라지는 전주곡일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사실을 제시했다. 이 같은 구조물은 남북으로 길이가 150km에 달했는데, 연구팀은 이게
동서
방향의 압축력을 받아 지각이 휜 것으로 파악했다. 또 울릉분지가 한반도 지각 아래로 파고든다고 추정되는 지역 깊은 곳에서 역단층을 발견했다. 역단층 역시 양 옆에서 압축력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 ...
한반도 폭염 예측 정확도 높일 단서는 ‘캄차카 블로킹’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블로킹은 중위도에서 편서풍이 부는 지역에서 상층의 고기압과 저기압이 정체해
동서
방향의 바람이 약해지고 남북 방향의 바람이 강해지는 현상이다. 지상 기압계의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폭염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과거 한반도에서 발생한 97건의 폭염 사례를 ... ...
기후변화로 나무는 더 마르고 산불은 더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연구팀도 한국의 산불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는 강한
동서
바람, 낮은 습도 등이 엘니뇨와 라니냐와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지난해 한국기상학회 학술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 ...
14년 전 그날과 똑같은 악몽, 불티처럼 되살아 났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일각에선 ‘화풍(火風)’이라는 별칭까지 붙었다. 양간지풍은 봄철 기압배치와 강원도를
동서
로 가른 산악 지형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 한반도로 따뜻한 이동성 고기압이 옮겨오면서 태백산맥 상공에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기온이 올라가는 역전층이 형성된다. ... ...
강풍에 마른 침엽수, 건조한 날씨 겹쳐 최악 시나리오 현실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다르다. 봄철 강원 지역에서 발생하는 이런 건조한 강풍은 봄철 기압배치와 강원도를
동서
로 가른 산악 지형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에서 한반도로 따뜻한 이동성 고기압이 옮겨오면서 태백산맥 상공에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기온이 올라가는 역전층이 형성된다. 이런 ... ...
울산 '해수전지' 실용화 사업 본격화…'어로용 부이' 개발
연합뉴스
l
2019.03.18
울산과기원이 세계 최초로 개발해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동서
발전이 준공한 10㎾h급 해수전지 에너지저장시스템을 통해 시범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쳐 실용화 가능성도 입증된 상태다. 앞서 지난 13일 시는 울산과기원에서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 기공식을 열었다. 지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