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뉴스
"
벌레
"(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플라스틱과 공존 꿈꾸는 젊은 기업들
2021.09.25
고등학교 3학년이던 2016년부터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연구해왔다. 밀웜(갈색거저리 애
벌레
)의 장내에서 찾은 미생물 300여 종을 대상으로 플라스틱 분해 실험을 마쳤다. 지금은 이 중에서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미생물 7종을 찾아 최종 검증을 하고 있다. 플라스틱을 ... ...
[카드뉴스]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큰 이익이 될 겁니다. 속담부터 바꿔야겠죠. “일어나고 싶을 때 일어나는 새가
벌레
를 잘 잡는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2013년 07월호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 ...
곤충 모방 비행로봇 발명한 박훈철 건국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박 교수는 2002년 건국대 호숫가를 산책하던 중 무당
벌레
가 날개를 접었다 펼치며 비행하는 모습을 보고 모방 연구를 떠올렸다고 한다. 박 교수는 “이상하게도 그날따라 눈앞에 느린 화면이 재생되듯 보였다”며 “연구를 처음 시작할 때 은퇴하기 전해 꼬리날개가 없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살균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피톤치드’(phytoncide)도 사실은 숲의 나무들이 자신을 괴롭히는
벌레
·박테리아·균류를 제거하기 위해서 만들어내는 살생물질이다. 살생물질의 독성은 농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아무리 독성이 강한 살생물질이라도 충분히 묽으면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 ...
고추에 치명적인 새 변종 바이러스, 국내서도 출현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고추와 토마토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켰다. 칼라병은 방제가 어려운 크기 1.5mm 남짓의 총채
벌레
가 옮겨 급속도로 감염이 확산하는 특성이 있다. 시설재배 농가는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난다. 국내에서도 칼라병 내병성 고추품종이 개발되 이후 피해는 줄었다. 그러나 최근 칼라병이 다시 재발하고 ... ...
달콤하고 빨간 현대 수박의 조상은 아프리카 수단 ‘코도판 멜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레너 교수는 “최근 재배되는 수박은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져 곰팡이, 바이러스,
벌레
등에 의한 질병에 취약하다”며 “이번에 발견한 질병 저항 유전자 3개를 이용해 병충해에 강한 수박 품종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재 재배종과 가장 가까운 코도판 멜론에서 ... ...
남극 바다 수심 2000m 해저에서 발견된 대형 화살
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많은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는 유력한 증거”라고 설명했다. 열수 분출구 주변에서 화살
벌레
는 이전까지 보고된 바 없으며 향후 남극 중앙해령 열수 생태계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거미 불가사리. 크기는 2cm 정도로 작다. 극지연 제공 박 책임연구원은 “거미 불가사리의 ... ...
백악기 딱정
벌레
배설물이 밝혀준 꽃식물과 곤충 밀월 관계
연합뉴스
l
2021.04.13
약 9천800만년 전 호박 속 딱정
벌레
몸·분립 꽃가루 투성이 b,c,e는 꽃가루 덩이와 분립의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 이미지. [Chenyang Cai, Yanzhe Fu and ... 근연종은 호주에 서식하는 긴수염밑빠진
벌레
과(Kateretidae)의 짧은 날개 꽃 딱정
벌레
로 다양한 꽃을 옮겨다니며 꽃가루를 먹고있다. ... ...
미생물에서 립스틱과 딸기우유 붉은색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제도에서만 서식하는 연지
벌레
부터 추출하는데,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 또 연지
벌레
가 사람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어, 그 대체재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국내 연구팀이 미생물을 활용해 카르민산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KAIST는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연구팀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명과 환청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2021.04.06
우는 소리가 들렸다. ‘겨울에 무슨 풀
벌레
?’ 이상하다 싶어 귀를 기울였는데 진짜 풀
벌레
소리는 아니었지만 비슷한 소리가 확실히 들렸다. 아침에 깨서도 소리가 계속됐고 낮에는 잠잠했지만 밤이 돼 자리에 눕자 또 들렸다. 게다가 날이 갈수록 점점 더 커져 낮에도 조용한 곳에 있으면 들렸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