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펙트럼
원광
폐니
뉴스
"
분광
"(으)로 총 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속 미세플라스틱, 손쉽게 식별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금속 폼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을 포집한 뒤 '표면 강화 라만
분광
법(SERS)'이라는 방법으로 금속 폼에 있는 물질의 광학 데이터를 얻었다. 이후 '스펙앳넷(SpecATNet)' 이라는 인공 신경망 컴퓨터 알고리즘을 만들어 광학 데이터의 패턴을 학습시켰다. 학습된 알고리즘은 빠르고 ... ...
NASA, 극지가 내뿜는 열 관측용 큐브샛 첫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수행할 큐브샛에는 특수한 모양의 거울과 센서로 적외선 파장을 측정하는 열적외선
분광
기라는 장비가 실렸다. 한 쌍으로 구성된 큐브샛은 북극과 남극에서 극지방 원적외선 에너지가 언제 어디서 우주로 방출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다. 대기의 수증기 함량과 구름 구성 등은 지구 ... ...
빛을 들여다 보면 별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5.18
빨간색에서 보라색으로 부드럽게 바뀌는 모습이었어요. 그런데 빛을 펼치는 도구인
분광
기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19세기 초반 과학자들은 햇빛 스펙트럼 중간에 이상한 검은 선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19세기 초 유럽 과학자들이 발견한 햇빛의 스펙트럼 속 검은 선. 1860년 키르히호프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의 달 '이오', 태양계 나이만큼 화산 활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5.12
구성이 화산 활동 기간을 측정하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고 이오 대기에서 밀리미터
분광
법을 이용해 유황, 염소를 함유한 분자를 탐지했다. 이를 통해 유황과 염소의 가벼운 동위원소들은 대기 상층부에서 손실돼 사라지고 무거운 동위원소가 풍부하게 남아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화산활동이 ... ...
中, 꿈의 '상온 초전도체' 찾는 연구시설 본격 가동
2024.05.05
이끄는 연구팀은 초저온 상태와 초전도 자석을 결합한 실험실을 설치해 핵자기공명(NMR)
분광
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NMR은 높은 자기장에서 원자핵의 행동을 추적한다. 195.8도 이상에서 작동하는 고온 초전도체의 기반이 되는 구조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SECUF의 자석은 미국 국립 ... ...
中, 역대 가장 상세한 달 표면 지질지도 공개
2024.04.28
선임 연구원은 "창어 1호의 카메라는 달의 지형과 지질 구조를 관찰했고 간섭 영상
분광
기는 다양한 암석 유형을 식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2013년과 2019년에 각각 '창어 3호'와 '창어 4호' 착륙선이 달 표면을 관측해 창어 1호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데 힘을 보탰다. 또 ... ...
원숭이 실험으로 식욕 조절 원리 증명…새 비만 유전자 치료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영역에 위치한 억제성 신경세포를 활성화했다. 양성자방출단층촬영(PET/CT) 및 자기공명
분광
법(MRS)을 통해 활성화가 잘 이뤄졌다는 점을 추가로 검증했다. 그러자 원숭이가 평소 좋아하는 음식을 갈구하는 행동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비만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인 '선호하는 ... ...
[과기원NOW] KAIST, 세계 최고 속도의 3차원 조명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대면적 고감도 라만
분광
센싱이 가능하게 하고 잘 휘어지는 연성물질을 금 나노빈틈
분광
센서의 기판으로 접합시키는 연구에 성공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같은 바이러스의 양성 여부를 확인하는 데 며칠이 걸리던 검사속도를 불과 몇 초만에 실시간으로 ... ...
암흑에너지 규명 위해 1년간 데이터 모아보니 "기존 우주론 맞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미국 애리조나주 키트피크 산꼭대기에 위치한 5000개의 작은 광섬유 로봇들은 다채널
분광
기를 장착한 망원경으로 먼 은하에서 나온 빛의 스펙트럼을 정밀하게 관측해 암흑에너지 연구 데이터를 모은다. 지난 1년간 이렇게 모은 데이터를 활용한 DESI 프로젝트의 첫 성과는 사상 최대 규모의 3D 우주 ... ...
물과 가스 얼려 방사성 오염수 담수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방사성 이온이 가스하이드레이트 동공에 끼어들지 않는 이온배척 현상을 '고체 자기공명
분광
법'을 이용해 규명했다. 이렇게 개발한 가스하이드레이트 기반 담수화 기술공정은 95~99%의 제거율로 세슘과 스트론튬 등 방사성 이온의 분리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윤지호 교수는 “이번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