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전
화숙
뉴스
"
산화전
"(으)로 총 55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꿔쓰자!과학용어] ⑪희석→묽힘...화학 부문 용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13
한자어인 '희석' 대신 '묽힘'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편집자주] 과학, 기술, 의학 분야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용어들이 쏟아져나오는가 하면 처음 통용되기 시작할 때 의미 전달을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진 용어들이 많습니다. 지금까지는 전문용어라고 애써 회 ... ...
AI로 현존 최고 성능·경제성 ‘그린수소 생산 촉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3
(왼쪽부터) 현택환 IBS 나노입자 연구단장,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첨단연성물질연구단장 대행, 문준석 석박통합과정생.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지금까지 개발된 기술 중 성능이 가장 뛰어난 그린수소 생산 촉매 기술을 찾아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현택환 나노입자 ... ...
전기차 폭발 위험 확 줄인 새 전해질 첨가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26
국제 학술지 'ACS 머티리얼즈 레터스' 10월 호 부표지논문으로 소개된 이번 연구. 원자력연 제공 배터리 폭발 위험, 충전 시간 대비 짧은 주행거리 등 전기차가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연구원 창업기업인 내일테크놀로지가 질화붕소나노튜브(BNNT)를 활용 ... ...
[주말N수학]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는 친환경 로켓 발사
2023.10.21
우주 항공 스타트업인 스핀런치는 진공 상태인 대형 원심분리기 안에 발사체를 넣은 뒤 빠르게 회전시켜 던져서 발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SpinLaunch 제공 우주를 향한 발사라고 하면 대부분 강렬한 섬광을 뿜는 ‘로켓’을 떠올린다. 우주에 무언가를 보내기 위해 지구의 중력을 박차고 오르 ... ...
45억 살 소행성 ‘베누’, 생명체 위한 물·탄소 풍부
동아사이언스
l
2023.10.12
지난 9월 24일 탐사선 오리시스-렉스가 수집한 베누 샘플이 들어있는 캡슐이 미국 유타 사막에 떨어졌다.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소행성 ‘베누’에서 수집한 '과학적 성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곳에는 물과 탄소가 존재해 생명체 출현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 ... ...
나무가 대기오염 주범?...지구 더워지면 가능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대기오염의 원인 화합물 '이소프렌'이 방출되는 포플러 나무.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40년 전 로널드 레이건 당시 미국 대통령은 나무가 자동차보다 더 많은 대기오염을 일으킨다는 주장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다.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지는 오늘날 이같은 주장의 일부는 과학적으로 타당하다는 연구 ... ...
사막에서 불어온 먼지가 온실가스 메테인 제거한다
과학동아
l
2023.10.01
매년 1억 t(톤)의 사막 먼지가 사하라 사막에서 흘러나온다. 네덜란드 왕립해양연구소팀은 사막 먼지가 강력한 온실가스인 메테인을 대기 중에서 제거한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NASA 제공 아프리카 대륙, 사하라 사막에서 바람을 타고 날아오른 먼지가 바다의 물보라와 만나 온실가스인 메테인(CH4)을 ... ...
전기차에 활용 가능한 전고체전지 소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25
전고체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고성능 복합전해질막 기술이 개발됐다. KBSI 제공 국내 연구진이 리튬이온전치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고체전지에 활용 가능한 이온전도도와 유연성을 높인 복합전해질막 기술을 개발했다. 고체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으면서도 열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에 걸리지 않는 '이 동물'의 장수 비결
2023.09.20
아프리카 동부에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노화의 징후를 보이지 않아 수명이 길고(아직 정확히 모른다) 암도 거의 걸리지 않는다. 위키피디아 제공 오늘날 대략 6500종의 포유류가 존재하는데 그 생김새만큼이나 수명도 다양하다. 대체로 덩치가 클수록 오래 살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박쥐가 대표 ... ...
[과기원NOW] KAIST, 고용량 배터리 수명 증대 방법 '나노스케일'로 영상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9.20
홍승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홍승범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LG에너지솔루션과 협업해 배터리의 수명 특성 향상 메커니즘 영상화 결과를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원자간력 현미경 기반의 켈빈 프루브 현미경을 이용해 1회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