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종
전환
변절
귀의
급변
뉴스
"
전향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대학원에 진학한 페인은 그러나 생태학자 프레더릭 스미스의 강의를 듣고 생태학으로
전향
해 ‘살아있는’ 화석인 개맛을 연구해 1961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2년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 동물학과에 자리를 잡은 페인은 먹이사슬에 대한 기존 입장, 즉 먹이가 주요 변수이고 포식자가 종속 ... ...
[카드뉴스] 물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4
태풍이 북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고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도는 것도 이
전향
력 때문인데요. 욕조의 물도 마찬가지입니다. 남반구에서는 욕조의 물이 항상 시계 방향으로 빠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2025년 우리나라는 '물 기근국가'로 전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건강을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두 손을 든 것이다. 온실가스협약비준을 끝까지 거부하다 오바마 행정부에 와서야
전향
적으로 참여하기로 마음을 바꾼 것과 맥락을 같이 하는 움직임이다. 구조가 비슷한 화합물은 활성도 비슷한 경우가 많다. 구조에 따라 공간에 화합물을 배치한 그림으로 피부자극이 있는 물질(짙은 청색)과 ... ...
경쟁에서 협력으로, 우주 개발 패러다임 변화 현장에 가다
2016.06.10
산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이전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던 발사체 기술 협력에도
전향
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며 “나로호 공동 개발 경험을 갖고 있는 러시아는 이런 측면에서 한국에는 최적의 우주 개발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비슷한 희귀질환 앓고 있지만… 두 번 우는 환자들
동아일보
l
2016.03.28
없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희귀질환자는 10만 명가량으로 추산된다. 이들에게
전향
적으로 지원을 늘리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특례 대상에 한번 포함시키면 나중에 빼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2010∼2014년 특례 대상 희귀질환자는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기술인 미토콘드리아치환요법과 게놈편집에 영국이 가장
전향
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인간배아다. - Kathy Niakan 제공 이처럼 게놈편집의 파급력이 워낙 크기 때문에 HFEA는 임상이 아니라 순수 연구 목적으로만 배아편집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즉 배아를 대상으로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축적되면서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비밀이 밝혀졌다. 물리학자에서 생물학자로
전향
한 칼 우즈는 1970년대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회심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리보솜RNA 염기서열을 분석해, 즉 분자진화 데이터를 토대로 생명체의 계통도를 만들어보기로 한 것. 그때까지는 형태적 특징을 토대로 ... ...
정신력과 집중력+물리학 지식이 '전설의 저격수' 만든다
2015.01.16
영화 ‘아메리칸 스나이퍼’는 아군에겐 ‘레전드(전설)’이자 적군에겐 ‘라마디의 악마’라 불린 실존 저격수 크리스 카일의 이야기를 담았다. 저격 ... 는 “탄환이 날아가는 동안 지구 자전의 영향으로 좌우로 휠 수 있다”면서 “이를 코리올리 효과(
전향
력)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보니 2006년 출간된 ‘Not Even Wrong’이라는 책이 눈에 띈다. 물리학을 공부하다 수학으로
전향
한 피터 보이트라는 사람이 쓴 책으로 알고 보니 2008년 ‘초끈이론의 진실’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도 번역됐다. 필자의 해석이 맞다면 원서 제목이 너무 모욕적이라(끈이론이 틀리다고 말할 가치조차 ... ...
"좋은 연구 성과는 좋은 멘토를 만나야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3.11.29
수상한 아브람 헤르슈코 교수를 만나면서부터였다. 임상의를 그만두고 의과학자로
전향
한 까닭은 뭘까. 치에하노베르 교수는 학창시절부터 헤르슈코 교수에게 시간이 지나면 잊혀지는 일보다는 좀 더 중요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어왔다. 실제로 사람들을 진료하는 것보다 새로운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