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간
순식간
모멘트
모먼트
호홀지간
즉시
뉴스
"
찰나
"(으)로 총 113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목 플랫폼의 진화, '애플워치 시리즈2'
2016.11.19
갈증이 오히려 줄어든 사례랄까. 어쨌든 쓰는 입장에서는 ‘이제 좀 쓸만하다’라는
찰나
에 신제품이 등장했다. 그리고 모두가 아는 것처럼 ‘시리즈2’라는 이름이 붙었다. 미묘한 이름의 차이지만 애플은 여전히 애플워치를 IT기기보다 시계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최호섭 제공 ● 애플이 ... ...
‘투명 망토’는 ‘저널리즘’을 어떻게 바꿀까?
2016.08.09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의 작동은 블랙박스에 숨겨질 뿐 아니라, 사실상
찰나
에 이루어진다.”(루크 도멜 저, “만물의 공식” 중에서) 저널리즘 분야에도 기술이 적용되면서 무언가를 드러내야 하는 저널리즘의 본질적 기능과 기술의 내재적 속성이 부딪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 ...
‘먼지와의 전쟁‘ 헤파필터 제대로 알고 구매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16.08.05
시작했고, ‘원래 이랬던가? 오랜만에 청소기를 돌려서 그런건가?’ 별 생각이 다 드는
찰나
, 먼지를 빨아들인 청소기가 공기 배출구로 다시 먼지를 배출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요즘의 화두는 단연 미세먼지입니다. 미세먼지가 인체에 얼마나 해로운가는 여러 사례를 통해 많이 접했을 ... ...
아이스크림을 핥아 먹다가
2016.07.16
날갯짓 같은 옅은 졸음에 싸여 있었다. “아주버님도 하나 드세요.” 눈꺼풀이 막 닫히는
찰나
, 처남댁이 아이스크림 하나를 들고 눈앞에 서 있었다. 40년 전 히트 상품 ‘ㄴㄱ바’였다. 원통형 바닐라 아이스크림 위에 밀크초콜릿을 씌운 게 옛 모습 그대로였다. 나는 그 아이스크림을 조금씩 핥아 ... ...
[사이언스 바캉스 2016] 두 번째 준비물 ‘중력파’ ‘후성유전학’ 외
과학동아
l
2016.07.06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
를 포착하다 2. 화성탐사와 우주 생물학 한국이 무인 달탐사를 선언하고 이제 그 윤곽이 잡혀가고 있다. 하지만 항공우주과학자들의 관심은 달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다. 그 너머 화성에 가는 것이 좀더 큰 목표. ... ...
무인자동차의 딜레마, 탑승자냐 보행자냐 그것이 문제
2016.06.24
제공 도로 위를 달리던 무인자동차. 돌발 상황이 생겨 보행자와 부딪치기 직전이다. 그
찰나
의 순간, 무인자동차는 탑승자와 보행자 중 어느 쪽을 보호하도록 움직여야 할까. 무인자동차 연구자에게 탑승자와 보행자 중 누구를 구하도록 프로그래밍할지 결정하는 문제는 매우 어려운 윤리적 ... ...
"학자가 되려면 자신의 목소리에 먼저 귀 기울여야"
2016.06.02
강연이 끝난 뒤에는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강연장 끝까지 줄을 서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찰나
의 틈을 타 치에하노베르 박사에게 질문을 하는 학생들도 많았다. 김원걸 학생(서울 영훈고 2년)은 "암과 단백질 분해에 관한 질문을 했는데 따로 공부할 수 있는 자료를 추천해줬다"며 "신선한 비유와 예시 ... ...
1만 분의 1초 ‘
찰나
’의 화학반응 조절
2016.05.06
김동표 포스텍 미세유체응용화학연구단 교수팀이 1만 분의 1초 수준으로 화학반응이 ‘
찰나
’에 일어나도록 돕는 3차원 반응기를 개발해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6일자에 발표했다. 여러 종류의 화학 물질을 섞어 새로운 화합물을 만들 때 반응 과정에서 불완전한 중간생성물이 ... ...
초미세 물방울 증발하는 0.3초
찰나
의 순간 포착
2016.04.08
-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물방울이 증발하는
찰나
의 순간을 동영상으로 담는 데 처음 성공했다. 원병묵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부피가 240펨토리터(fL·1fL는 1000조분의 1L)인 물방울이 0.3초 동안 증발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 ...
뇌 신경세포 실시간 관찰하는 바이오센서 ‘파도’ 개발
2016.04.06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연구팀은 인간 세포에 파도를 연결해 1초 이내의
찰나
의 순간에 생긴 산성도 변화를 1000분의 1초 수준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또 파도에 전기적 자극을 가해 산성도를 조절하면 주변 다른 세포 산성도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하며 향후 파도를 이용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