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상
그림
회화
사진
초상화
인물
조상
뉴스
"
초상
"(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확 풀어 준다!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
수학동아
l
2015.07.03
더 높은 차원의 방정식을 풀기까지는 기나긴 세월이 필요했습니다. 타르탈리아의
초상
. 가난과 장애를 극복한 굳은 의지가 느껴집니다. - 작자미상(w) 제공 ● 수학 대결을 위한 비장의 무기 16세기 유럽의 수학자는 승부사였습니다. 마치 격투기처럼 수학 문제로 결투를 벌였죠. 얼마나 치열했던지 ... ...
日 “이공계 여학생 늘리자”
동아일보
l
2015.06.09
활성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아사히신문 계열 시사주간지 아에라는 ‘이공계 여성의
초상
’이라는 제목으로 이공계 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여성의 모습을 소개하는 시리즈 기사를 최근 연재하기 시작했다. 도요타는 지난해 계열사 10곳이 함께 여성 기술자를 위한 기금을 만들었다. 도쿄=박형준 ... ...
은하의 자기장
초상
화
과학동아
l
2015.01.28
ESA) 제공 파스텔로 그린 듯 고운 질감이 느껴지는 이 사진은 우리 은하의 ‘자기장
초상
화’다. 유럽우주국(ESA)은 2009년 쏘아 올린 플랑크 위성으로 우리 은하의 자기장 분포를 관측해왔다. 자기장을 조사하면 성간물질의 분포와 구성을 알 수 있다. 미세한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성간물질은 은하 ... ...
생활 속으로 들어온 IT 기술
2014.11.10
가득 채운
초상
화에는 붓 터치 하나하나가 살아있다. 전설의 화가로 숭배 받는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 같지만 사실은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그렸다. 화면과 마주 보고 앉으면 화면에 달린 카메라가 사진을 찍은 뒤 이를 토대로 쓱쓱 그림을 그려 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비사실적 ... ...
[이주의 과학 신간] 노벨상 수상자가 들려주는 예술 이야기 外
2014.10.05
인문학을 한 곳에 풀어냈다. 구스타프 클림트, 에곤 실레, 오스카어 코코슈카가 그린
초상
화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부터 뇌과학의 연구성과로 해석해 우리가 예술작품을 보고 감동을 느끼는 이유와 이때 뇌에서는 어떤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지 등을 알려준다. 사이언스북스 ... ...
‘도깨비 방망이’ 3D 프린팅 예술의 미래는?
동아일보
l
2014.05.27
D 프린팅 & 아트’전 초창기 컴퓨터는 방 하나만 한 크기였다거나 카메라가 등장했을 때
초상
사진을 찍으려면 5분 넘게 꼼짝 말고 있어야 했다는 얘기는 이제 까마득한 과거다. 스마트폰의 진화로 남녀노소가 첨단 기술을 손쉽게 이용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휴대전화처럼 세상에 획기적 변화를 ... ...
이것이 르누아르의 진짜 빨강색!
과학동아
l
2014.03.10
화가 르누아르는 1883년 자신의 부유한 후원자 중 하나였던 ‘레옹 클라피송 부인’의
초상
화를 완성했다. 최근 미 시카고미술관이 미국 노스웨스턴대 리처드 반 듀웨인 교수와 함께 이 작품을 보존실에 가져와 작업하던 중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지금은 회색에 가까운 작품의 배경이 원래는 ... ...
바람이 지나는 길 위의 한옥
동아사이언스
l
2014.02.07
씨는 윤증 선생 고택에 대문과 담장이 없는 이유를 이와 같이 설명했다 . 명재 윤증의
초상
- 위키미디어 제공 윤증(1629년(인조 7년)~1714년(숙종 40년)) 선생은 18세기의 성리학자로서 본관은 파평(破平), 자는 자인(子仁), 그리고 호는 명재(明齋)다. 이산현(尼山縣) 유봉(酉峰)에서 살아서 호를 ... ...
숭유억불의 나라에 세워진 왕실의 절
동아사이언스
l
2013.09.24
해제됐다. - 이종호 박사 제공 특히 대웅보전에는 김홍도가 총 주관하여 마치
초상
화를 그리듯 사실적으로 그린 입체적인 인물 표현과 명암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최초의 음영법(陰影法)을 도입한 그림으로 알려지는 후불탱화(지방문화재 제16호)가 있다. 이러한 기법은 19세기 후반 경기도 지역을 ... ...
현대인들도 놀란 과학적 원리의 배다리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원칙을 무시하고 일직선으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가 된 것이다. 한편 정조는 자신의
초상
화를 현륭원 재실에 걸어 곁에서 사도세자를 봉양하는 의미를 두기도 했다. 그만큼 아버지 사도세자에게 사후에도 효도를 다하겠다는 정조의 효심을 엿볼 수 있다. 또한 화성 현륭원으로 행차할 때는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