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유니버스
cosmos
스페이스
질서
조화
천지
뉴스
"
코스모스
"(으)로 총 98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2016.04.07
탄생했는지를 보여주는 실험실인 셈이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
코스모스
포토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2016.03.31
김알지처럼 새로 태어난 셈이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
코스모스
포토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12억년만에 지구에 온 ‘초신성의 마지막 빛’
동아일보
l
2016.03.24
탄소는 모두 붕괴하는 별의 내부에서 합성됐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두 별의 자녀다.” ‘
코스모스
’의 저자 칼 세이건의 말이다. 우리 몸을 이루는 원자의 상당수는 태양과 같은 별 안에서 수소 원자의 융합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특히 금속 원소는 태양보다 훨씬 큰 별이 수명을 다해 엄청난 섬광을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2016.03.24
우주망원경 3대가 추적한다니 놀랍지 않은가.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
코스모스
포토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우주서 빙글빙글 초대형 바람개비
2016.03.10
우주로 던져지지 않을까 하는 기우 말이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이충환 기자의 ‘
코스모스
포토에세이’를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우주 속 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미리내에 거대한 용이 산다
2016.02.25
7광년 길이의 검은 용이 핏빛 은하수(미리내)에서 힘차게 헤엄치는 것처럼 보이는 NGC6559. 차가운 먼지와 수소가스. 그리고 주변 별빛의 합작품이다. 은하수의 우리말인 미리내는 용을 뜻하는 ‘미르’와 강물을 뜻하는 ‘내’가 합쳐진 말이다. 전설에 따르면 하늘나라 강물인 은하수 속에 용이 ... ...
[수도권]지하철 4호선 쌍문역, 둘리역 된다
동아일보
l
2015.12.23
도봉구에 따르면 내년까지 5억 원이 투입돼 쌍문역 지하 1층 쉼터에 둘리가 우주선 ‘타임
코스모스
’를 타고 쌍문동으로 타임워프(시간의 흐름을 과거나 미래로 옮기는 것)하는 상황이 이미지로 연출된다. 둘리의 탄생 배경과 친구들의 기본적인 정보도 전시된다. 기둥과 외부 유리, 출입구 벽면에는 ... ...
[수학교육 논쟁] 수학 교육, 줄일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들어야
2015.09.16
수학문화강연도 늘려야 한다. 수학 에세이 주제의 예시도 모아야 한다. 칼 세이건의 수준의 흥미진진한 수학 다큐멘터리도 만들어져서 에세이 숙제의 재료가 되면 어떨까? 문제풀이보다 백 배는 재미있으면서 평가에 반영되고, 그거 쓰다 보면 ‘수학이 왜 나왔는지’와 ‘어디에 ... ...
1990년 밸런타인데이, ‘보이저 1호’가 준 선물
2015.02.12
있습니다. 혹시 ‘Pale Blue Dot(창백한 푸른 점)’이라는 말 들어봤나요? 대중과학서 ‘
코스모스
’의 저자로 유명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Carl Sagan)이 만든 말인데요. 세이건은 같은 이름의 책도 펴냈습니다. [좌] 'Pale Blue Dot' 표지, [우] 이 책의 저자 칼 세이건 - 위키피디아 제공 이야기는 1980년으로 ... ...
우주 괴물 군단 물리치는 메시, 루니, 호날두?
2015.01.25
날개돋친 듯 팔려 나가고 있다. 우주의 역사를 다룬 천체물리학의 고전인 칼 세이건의 ‘
코스모스
’는 판매량이 급증했고, 영화에 등장하는 ‘초끈이론’을 다룬 ‘엘러건트 유니버스’도 판매량이 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과학자들이 새롭게 대중의 인기를 끌기도 했다. 서울대 물리학과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