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사
바다
해병대원
바다위
파두
해운
뉴스
"
해상
"(으)로 총 1,649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11월 태풍, 평년보다 5개 더 발생…"태풍예보관 단 4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1.24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 센터장은 "올해 8개를 필리핀 북동쪽
해상
, 대만 동쪽, 동중국
해상
등에 투하해 큰 효과를 거뒀다"면서 "내년에는 15개 이상 투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센터장은 "다만 표류부를 뿌려 태풍 예보의 정확성을 높이려면 언제든 먼 바다까지 나갈 수 있는 기상관측선이 ... ...
中, '가장 밝은 X선' 12월 첫 가동…"세포소기관 리보솜까지 관찰"
동아사이언스
l
2024.11.24
수 있다. 동유후이 중국과학원 고에너지물리연구소 부소장은 "자연 환경에서 단백질을 고
해상
도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밍다 리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마치 새 망원경을 구입하는 것과 같으며 이전에는 관찰할 수 없었던 것들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성되는 X선의 밝기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쥐의 뇌에선 무슨 일이…고
해상
도 3차원 이미징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1.24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의료생화학·생물물리학과 연구원 연구팀은 단일 세포
해상
도 수준에서 쥐의 뇌 세포에 있는 전령RNA(mRNA)를 시각화한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에 2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조직 내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는 최신 기술인 ‘TRISCO’를 이번 연구에 적용했다. 이 기술은 조직을 ... ...
[사이언스영상] 50%까지 늘어나는 디스플레이
SEIZE
l
2024.11.23
12인치 화면을 18인치 정도로 늘릴 수 있다. 늘어나면서도 일반 모니터 수준의 고
해상
도인 100ppi(인치당 픽셀 수)와 RGB 풀 컬러를 구현한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의류나 자동차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G 디스플레이는 이날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공개하면서 소방관 화재 진압복에 ... ...
[과기원NOW] 수소결합 첨가제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성능·안정성 잡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흡수층을 개발했다. 김 교수는 "세계 시장에서 일본 소니(Sony)가 주도하고 있는 초고
해상
도 단파적외선(SWIR) 이미지 센서 기술에 대한 원천 기술을 확보해 향후 시장 진입 가능성을 열었다"고 밝혔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6일 GIST 오룡관에서 '멘토-멘티 데이'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GIST ... ...
자율운항 선박 자동으로 항구에 정박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자동 계류 시스템을 2025년
해상
에서 최종 성능을 검증하고 이후 사업화를 추진하는 등 기술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복잡한 DNA 염기서열 해석·생성하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가 소개됐다. 브라이언 히에 미국 아크연구소 교수팀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고
해상
도 염기서열 해석·생성 AI 모델인 Evo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15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생명체의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정보는 DNA 염기서열에 모두 암호화됐다. 아메바처럼 단순한 생물의 ... ...
대기오염 심한 곳엔 폭설 가능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구름층과 비교분석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지구관측위성 '테라'에 설치된 중간
해상
도 영상 분광계(MODIS) 데이터와 구글 지도를 이용해 분석했다. 눈을 뿌릴 가능성이 있는 냉각된 깃털 모양의 구름이 한 산업시설 위에 만들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위성 이미지. 벨레 톨 제공 분석 결과 ... ...
17일부터 기온 '뚝'…"일부 지역 한파주의보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나뉜 공기가 해안에 가까운 지점에서 강하게 충돌하면 강수량이 많겠지만 해안에서 먼
해상
에서 충돌하면 비나 눈이 거의 내리지 않을 수도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북쪽에서 내려오는 찬 공기 강도와 공기가 충돌하는 위치 등에 따라 비의 양과 내리는 지역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면서 최신 ... ...
고대 인류, 학습 위해 '긴 유년기' 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취리히대 연구원 등은 유럽싱크로트론방사선시설(ESRF)을 이용해 화석 치아의 성장선을 고
해상
도 X선으로 촬영해 이미지를 얻었다. 치아에는 나이테처럼 1~8일마다 하나씩 성장선이 생기는데 이를 분석하면 태어난 시기와 치아 성장 속도 등을 알 수 있다. 치아를 분석한 결과 고인류의 나이는 11.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