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뉴스
"
흐름
"(으)로 총 1,600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뱃살은 20년 후 알츠하이머 발병 여부를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전뇌와 국소적인 뇌의 혈류를 살핀 결과에서는 내장 지방이 높은 그룹에서 전뇌 혈액의
흐름
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하 지방과 뇌 혈류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돌랏샤히 연구원은 “내장 지방과 BMI 수치, 대사 문제를 개선하면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하는 것을 ... ...
'열의 순환' 이용해 폐플라스틱 대규모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공정의 핵심은 열의 순환이다. 연소 반응기에서 가열된 고체입자 상태의 촉매는 공기의
흐름
에 따라 열분해 반응기로 이동해 열을 전달한다. 여기서 얻어진 열은 투입된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는 데 사용된다. 이후 온도가 낮아진 촉매는 잔여물과 함께 다시 연소 반응기로 돌아온다. 이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개발국 온실가스 배출량 상승세의 의미
2024.11.27
3%로 비중이 큰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재집권하며 변수가 생겼지만 그래야 4년이므로
흐름
을 바꾸지는 못할 것이다. 반면 자본과 기술이 부족하고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는 대다수 개발도상국의 배출량은 인도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 증가세가 더 가파를 수도 있다. 경제가 발전하며 생활 ... ...
미끌미끌한 미역 출생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23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것을 조류(algae)라고 합니다. 하늘을 나는 새 조류(birds)나 바다의
흐름
조류(tidal current)와 헷갈리지 않게 보통 해조류라고 합니다. 미역은 암수 구분 없이 자손을 만드는 무성생식, 암수가 만나 자손을 만드는 유성생식을 동시에 합니다. 이러한 생식을 '세대교번'이라고 ... ...
과학기자협 '과학언론 40년, 과학이슈 60선'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2024년까지 벌어진 60개의 한국 과학계 주요 이슈 기사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의 발전
흐름
을 개관했다. 1984~2014년 과학 이슈 38선은 2014년 발간된 30년사 내용을 재편집했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10년간의 과학 이슈 22선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 기사 분석,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0대 ... ...
하폐수 발생한 곳에서 바로 방류하는 처리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분해했다. 연구를 이끈 김상훈 책임연구원은 “개발한 장치는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흐름
방식으로 구성되어 기존 방식보다 높은 완전 분해 효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장치와 처리 방식에 대한 특허가 출원 중이며 상용화를 위해 기술 이전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 ...
코끼리도 호스 이용해 물뿌리며 샤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메리를 방해하는 것 같은 모습을 보였다. 안찰리는 호스를 자기 쪽으로 당긴 다음 물의
흐름
을 방해하기 위해 호스를 들어 올리고 코로 꼬는 행동을 했다. 모든 코끼리가 호스를 밟지 않도록 평소 사육사에게 훈련을 받았음에도 안찰리는 메리가 사용하는 호스 중간 부분을 꾹 누르기도 했다. ... ...
원자핵은 어떻게 생겼을까...고에너지 핵충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원자핵의 형태에 대한 데이터를 도출했다. 원자핵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입자의
흐름
과 운동량을 분석하고 이를 다양한 쿼크-글루온 플라즈마 모양에 대한 유체역학적 모델링에 적용해 원래 충돌했던 원자핵의 형태에 도달했다. 연구팀은 이번 시각화 기술을 위한 유체역학적 모델링을 만드는 데는 ... ...
페트병 소재 대체 미생물 플라스틱 생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통해 여러 유사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의 전구체로 사용되는 프로토카테츄산의 대사
흐름
을 강화하고 전구체 손실을 방지하는 플랫폼 미생물 균주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총 5종의 유사 방향족 다이카복실산을 고효율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왼쪽부터 KAIST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 ...
11월 과학기술인상에 정일문 박사…물공급 소외지역 위한 샌드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계곡처럼 급류가 흐르는 지형에는 설치하기 어렵다. 반면 바이패스형 샌드댐은 계곡의
흐름
을 차단하지 않고 차수벽으로 둘러싼 공간에 모래를 채운 후 주변 계곡수 및 지하수를 유도해 수량을 확보한다. 모래는 안정적으로 물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물을 정수하는 역할도 한다. 정 본부장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