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스페셜
"
곳
"(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제임스웹이 보여준 멋진 신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5
허블우주망원경보다 더 먼 우주 깊은
곳
별을 관측할 수 있다.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곳
에서 오고 있는 별빛일수록 파장이 긴 적외선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줄리아 세이델 유럽남방천문대 연구원은 그동안 제임스웹이 밝힌 지구에서 700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 'WASP-39b'에 대한 5편의 연구 논문을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높인다고 한다. 뇌의 보상중추는 도파민 등 쾌락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는
곳
이므로, 건강에 좋지 않은 패스트푸드는 역설적으로 뇌의 보상중추 활성을 통해 다시 몸에 좋지 않은 음식에 끌리게 만드는 것이다. 그래도 여전히 궁금한 점이 있다. 맥도널드에서 하루 세 끼를 채우는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심을 게 아니라면 새로운 땅은 훼손지이거나 간척지와 같이 식물이 자라기 척박한
곳
이 대부분이다. 게다가 기후변화에 따라 나무심기가 가능한 땅들도 염류화가 심각해지고 있어 2050년까지 경작지의 약 50%가 황폐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다. 토양의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식물은 삼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보면 하마, 돼지, 영양 같은 다양한 초식동물이 포함돼 있다. 특히 어금니 한 점과 가까운
곳
에서 나온 하마 뼈에는 석기에 훼손된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또 돌 표면에는 찧는 과정에서 묻은 것으로 보이는 식물의 잔해가 발견됐다. 저자들은 논문에서 “이번 발굴로 거대동물을 도살하거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이집트 미라 방부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2.11
것이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영혼이 사후세계로 갔다가 다시 시신이 있는
곳
을 돌아와 되살아난다고 믿었다. 미라는 다시 돌아올 영혼을 위해 시신을 방부 처리한 것이다. 독일 루드비히 막시말리안대(LMU)와 튀빙겐대, 이집트 국립연구센터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미라에 쓰인 방부처리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속 마그마의 경로
동아사이언스
l
2023.02.05
분화과정을 자세히 분석한 논문 2건을 소개했다. 이 연구들은 마우나로아 화산 깊은
곳
에서 감지된 작은 규모의 지진을 분석해 분화와 관련한 여러 가지 과학적 사실을 밝혔다. 애쉬튼 플린더스 미국지질조사국 연구원 연구팀이 실시한 이번 연구는 화산의 분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경고하기 위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기도를 하는 것은 아주 적절한(?) 조치였다. 신에게 기도를 할 바에는 공기 좋고 물 좋은
곳
에 신전을 지어놓고,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한 후에 정성스럽게 기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이왕이면 신전도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를 위한 신전이면 치료에 대한 기대가 더 컸을 것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죽어가는 아마존 산림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분석했다. 14%는 농지로 쓰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아마존은 숲이 없는
곳
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아마존 생태계가 적응하기에는 너무 빠른 속도”라고 밝혔다. 데이비드 라폴라 브라질 캄피나스대 지구시스템과학연구소 교수팀은 파괴되지 않고 남아있는 아마존의 열대우림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Jacques-Louis Reverdin)은 피부에 큰 손상이 생긴 경우 작은 피부조각 여러 개를 준비해 한
곳
에 옮겨 붙이는 시술에 성공했다. 약 두 번의 밀레니엄이 지나는 동안 피부이식이 점점 넓은 부위에 적용되는 형태로 발전해간 것이다. 1874년에 독일의 티에르쉬(Carl Thiersch)는 피부의 세 층중 바깥쪽의 표피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가운데 T세포가 많은 영역에는 별로 없고 종양 표면과 면역세포 가운데 골수세포가 있는
곳
에서 주로 이들 세포 안에서 발견됐다. 연구자들은 대장암세포로 종양을 모방한 암 스페로이드(cancer spheroid)를 만들어 박테리아가 무슨 일을 하는지 알아봤다. 대장암 종양 내 미생물로 가장 흔히 발견되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