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한
절정
한계
극치
정점
최고조
최상
스페셜
"
극도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관여한다는 가설을 내놓았다. 한편 db생쥐와 병체결합으로 연결된 정상생쥐는
극도
의 식욕부진으로 굶어죽었다. 이에 대해 콜맨은 db생쥐는 식욕억제물질을 인식하는 수용체 유전자가 고장났다고 해석했다. 즉 수용체가 없어 반응을 안 하다 보니 몸에서 식욕억제물질을 과다하게 만든다는 것. ... ...
[만화] 우황청심원은 시험의 긴장을 풀어줄 수 있나?
KISTI
l
2014.12.22
내리고 기혈이 잘 순환되게 도와주는 약재들로 구성돼 있단다. 그래서 수능을 볼 때처럼
극도
로 긴장되는 순간에 마음을 편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지. 하지만 좀처럼 흥분을 하지 않는 데다 열이 없는 체질의 학생이 마음을 가라앉히려 우황청심원을 먹었다간 오히려 졸음이나 무기력, 집중력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상태다. 정부는 큰용늪의 보존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 가뭄과 호우 등
극도
의 기상이변이 없는 수년(water year)을 기준으로 한다. 3. 길이 25m, 수심 1.4m의 6레인의 수영장을 기준으로 한 값이다. 4. 용늪 방문객은 용늪의 보존을 위해 절대로 습지 내부로는 들어갈 수 없다. 5. 이 면적은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지오프리 플랫은 한 달 째 수단에서 보내온 시료에서 바이러스의 실체를 밝히는 연구를
극도
로 조심해가면서 수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11월 5일 아침,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보기 위해 실험동물에 시료를 주사하는 작업을 하던 플랫은 실수로 주사기를 놓쳤는데 불운하게도 바늘이 엄지손가락 손톱 위 ... ...
[만화] 멸종 비상 바나나, 해답은 유전자 다양성!
KISTI
l
2014.05.14
우수한 품질을 가진 바나나 풀의 뿌리나 줄기를 접붙여서 번식시켰기 때문에 유전자가
극도
로 단순해졌지. 바나나 풀이 수만 개가 있다 해도 각기 다른 바나나가 아니라 모두 복제품이라는 거야.” “그게 어때서요? 제일 좋은 품질의 바나나만 먹을 수 있으니까 좋잖아요.” “잘 생각해봐. 세상에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사람들 근처에 집을 짓는 과감한 선택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뻐꾸기 같은 새는 사람을
극도
로 피하는 종이다. 흰털발제비(사진)나 귀제비는 둥지의 입구를 터널처럼 좁게 만들어 뻐꾸기의 탁란을 원천적으로 막는 전략을 쓴다. - 위키피디아 제공 탁란(brood parasitism)은 작은 새들에게는 무척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치며 우왕좌왕하며 주변 사람까지도 불안하게 할 수 있다. 재난이 닥치면 패닉형의 몸은
극도
로 긴장한다. 심장이 빨리 뛰고 숨은 가빠지며 온몸이 떨리며 심하게는 마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사람들의 뇌를 보면 감정과 기억, 행동을 조절하는 변연계와 공포를 느끼는 편도체가 과도하게 ... ...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것이다. 우리는 평화스럽게 세상을 떴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당사자는 악몽 속에서
극도
로 흥분된 상태에서 죽음을 맞이한 것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평소 악몽을 자주 꾸는 편인 필자로서는 기분이 안 좋은 정보였다. 그 뒤로 악몽을 꾸다가 깨면 그 구절이 생각나 ‘이러다 큰 일 나는 거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KISTI
l
2014.01.16
이하로 떨어뜨리면서 심장은 1분에 9회 이하만 뛰도록 만들어요. 당연히 에너지 대사율도
극도
로 낮추고 말이야.” “악! 생각만 해도 너무 춥고 무서워요. 특히나 겨우내 아무것도 먹을 수 없다는 건 정말이지 참을 수 없다고요!” “물론, 말 안 듣는 어린이를 위해 과학자들이 겨울잠 자는 ... ...
예술가는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바라본 ‘과학+미술’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색상이 어두워지고, 급기야는 표면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등의 수난을 겪게 된다.
극도
의 세분화와 전문화를 추구하던 현대의 학문이 점차 하나로 통합되는 추세를 보이는 요즈음, 세상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같은 인물을 주목하고 있다. 과학과 예술을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은 채 자신을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