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스페셜
"
난치
"(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분야로 신약개발과 줄기세포, BT 인프라 구축 등 3가지를 꼽았다. 특히 줄기세포 연구는
난치
병 치료의 가능성 때문에 국민적 관심이 크다. 박 국장은 “의학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자의 기술적 의욕과 윤리문제 해결 등의 사회적 욕구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줄기세포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28
바랄 뿐입니다.” 오 원장은 생명연에서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는 분야로 암과 같은
난치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연구, 천연물 소재의 신약 발굴, 유전체 재설계와 합성 연구 등을 들었다. 특히 스마트센서나 칩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은 국내 IT기업과 함께 제품을 생산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 ...
한의학硏, ‘R&D의 재구성’으로 천연물신약 쏟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2.31
것을 막기 위해서다. 침술과 관련해서는 루게릭병, 갱년기 안면홍조증, 안구건조증 등
난치
성 질환이나 현대의학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질환을 목표로 삼아 연구 중이다. 이 팀장은 “그동안 한의학은 기초가 없이 로컬(임상의사)만 살아남은 형태였다”며 “한의학을 현대과학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역분화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각종
난치
병 치료제를 연구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9월에는 김 단장이 만든 신경세포 분화기술이 국제줄기세포 포럼에서 세계 표준으로 채택된 바 있다. ●“청소년들이 롤 모델로 삼을 만 한 스타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않고 체세포를 추출해 줄기세포를 만드는 역분화세포는 윤리적 문제를 해소하며
난치
병 원인 규명과 신약개발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잇어 잠재성이 매우 크다. 한 교수는 “다양한 줄기세포 연구가 있지만, 우선 우리나라가 집중해야 할 연구가 바로 ‘역분화줄기세포 연구’라고 지적했다.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있다. 세포성장과 관련한 신호전달 체계를 바로 이해해 질병의 원인을 밝힌다면 어떠한
난치
성 질환도 정복할 수 있다는 확신 때문이다. 박사후연구원을 위한 안정적 지원 세계 정상급 연구자로 유명한 정 교수지만 그의 연구실에는 남모를 어려움이 있다. 함께 연구할 사람이 부족하다는 것. 2001년 ... ...
“생명과학기술과 생명윤리는 동전의 양면”
동아사이언스
l
2009.05.21
꼭!’ ○생명윤리에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허용해야 한다. ○희귀
난치
병 신약 개발에 대해 임상시험 절차를 완화해야 한다. ○정부의 생명공학 연구 지원 체계를 유기적으로 통합해야 한다. 정하균 의원은 1958. 1월 강원 춘천 출생 1976.2 대일고등학교 졸업 2003.2~2007.2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09.04.23
분야로 신약개발과 줄기세포, BT 인프라 구축 등 3가지를 꼽았다. 특히 줄기세포 연구는
난치
병 치료의 가능성 때문에 국민적 관심이 크다. 박 국장은 “의학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자의 기술적 의욕과 윤리문제 해결 등의 사회적 욕구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줄기세포 ... ...
이전
5
6
7
8
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