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스페셜
"
뇌
"(으)로 총 88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진 "노화로
뇌
막에 당 쌓인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세포노화에 지난달 28일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뇌
막 자체에 초점을 둬 당 축적에 따른
뇌
막 변성·기능 장애를 확인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 양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박정원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공동으로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불안감과 두근거림 어느쪽이 먼저일까
2023.03.08
바른 자세로 안정된 호흡을 하면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돼 심박수가 떨어지고 이 정보가
뇌
섬엽에 전해져 불안 요인이 적어졌다고 판단해 마음의 안정을 되찾게 된다는 말이다. 얼마 전 기간이 만료됐음에도 별로 이용하지 않아 연장하지 않았던 명상 앱을 다시 구독해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오늘과학] 생쥐는 성욕과 식욕 중 어떤 욕구 앞설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무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런 행동의 이유를 밝히기 위해 생쥐의
뇌
를 관찰했다. 그 결과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이 이성과 상호작용할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렙틴의 활성화로 식욕이 억제되며 성욕이 커진다는 설명이다. 수컷 생쥐들과의 상호작용 때는 렙틴 ... ...
[일상 속
뇌
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것이다. 파란트로푸스의 거대한 턱과 치아는 먹을거리의 스펙트럼을 넓혔지만, 두
뇌
팽창을 막아 똑똑하고 손재주가 좋은 에렉투스에게 결국 무릎을 꿇은 게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DGIST 2023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사결정 특성을
뇌
과학적인 관점에서 규명하고 이를 활용한
뇌
기반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광형 총장은 "목표를 향해 미래를 그려보고 노력해간다면, 미래는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작품일 수 있다"며 "꿈의 여정을 멈추지 말고 실패를 만나더라도 포기하지 말라 ... ...
[과기원은 지금] 이정호 KAIST 교수팀,
뇌
세포 유전자 변이 검출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생체 혈액과
뇌
장벽을 모사한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뇌
질환 관련 약물 개발 또는 평가에 활용할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계 질환의 메커니즘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터리얼즈’ 2월호에 온라인으로 실렸다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국제적 수소 공급망 최적화 방법 확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기존 약에 반응하지 않거나 저항성이 생기는 단백질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암·퇴행성
뇌
질환 진단·의약품 개발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13일 게재됐다. ■ 포스텍과 광주과학기술원(GIST) 공동연구팀은 수전해 ... ...
[일상속
뇌
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일상 속
뇌
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
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