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구
동무
벗
짝패
동지
패거리
짝
스페셜
"
동료
"(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침팬지 벌레 잡아 다친 상처에 바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8
작은 날벌레를 잡아 자기 상처에 문질러 치료하는 장면이 관찰됐다. 자신뿐 아니라
동료
상처에 문지르는 장면도 포착돼 침팬지의 사회성도 함께 확인됐다는 분석이다. 시몬느 피카 독일 오스나브뤼크대 인지과학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오조가 침팬지 프로젝트’ 연구팀은 아프리카 가봉 ... ...
코로나19로 쏟아진 사전공개 논문…83% 최종 논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2
신뢰성이 어느정도 입증됐다고 본다”며 “사전공개 논문과 출판 논문을 분석하는 것은
동료
평가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 디베르시파밀리아(Aegista diversifamilia). 대만 출신의 연국자 치웨이 후앙과 그의
동료
들은 동성 결혼의 합법화를 지지하기 위해 자웅동체인 달팽이의 이름에 다양성이라는 의미를 주었다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사생활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본능적으로 행동한다. 예를 들어 구내식당에서 직장
동료
와 점심을 먹으며 상사 뒷담화를 하다 누군가가 옆을 지나가면 자신도 모르게 목소리를 낮춘다. 이런 행동은 무의식적으로 이뤄져 때로는 비합리적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자기소개서를 쓸 때 창을 통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정체되어 있다고 느낄 때, 기억을 꺼내보라
2022.01.22
꺼내는 경험은 우리에게 큰 행복감을 준다고 한다. 프린스턴대 쉬리야 셰크사리 교수와
동료
들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중 기억에 남는 일곱 가지 정도를 적어서 유리병에 넣어두도록 했다. 한 달 후 학생들에게 자신의 기억이나 다른 학생들의 기억을 열어보도록 한 후 얼마나 기쁜지 또 ... ...
유전자 교정해 면역거부 반응 없앤 돼지 신장, 이번엔 뇌사자 이식 성공…연말 실제 환자 이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교정 돼지 신장 이식 성공을 담은 연구 논문은 미국이식학회저널에 정식으로 보고됐다.
동료
평가를 거친 연구 논문으로는 처음으로 학술지에 게재된 셈이다. 앨라배마대 의료진에 따르면 돼지 신장은 이식 수술이 끝나고 약 23분 뒤 소변을 생성하는 기능을 시작했으며 이식된 돼지의 신장을 ... ...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검사 방식 변경 논란 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먼저 타액에 나타난 다음 코에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 연구결과는 아직
동료
전문가의 심사를 거치지는 않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 의료미생물학과 연구팀도 오미크론 변이의 경우 타액을 채취하는 것이 감염 여부 판별에 훨씬 효율적이라는 연구결과를 지난달 24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모건의 돌연변이 작명은 그대로 초파리 유전자의 이름으로 이어졌다. 모건과 그의
동료
들이 발견한 돌연변이의 형질 중 상당수가 단 하나의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나타나는 표현형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 현대 초파리 유전학자들은 모건이 발견한 화이트 돌연변이를 만드는 유전자의 ... ...
"오미크론 변이, 델타보다 입원 위험 낮다" 연구결과 잇따라
동아사이언스
l
2021.12.23
변이체 감염된 26만 9000명을 비교한 분석보고서를 2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연구결과는
동료
평가(피어리뷰)를 거치지 않은 상태다. 분석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 시 델타 변이와 비교해 최소 1일 이상 입원할 가능성이 40~45%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에 다닐 확률은 20~25%가 적은 것으로 ... ...
[팩트체크]오미크론 변이는 감기 바이러스의 혼종?
동아사이언스
l
2021.12.10
일반 감기처럼 전염성은 강하고 가벼운 증상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동료
연구자들의 검토와 심사를 거치지 않고 엔퍼런스 홈페이지에 공개됐다. 이 연구결과는 로이터, 워싱턴포스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해외 외신에서 다뤄졌다. 국내에서도 여러 매체에서 기사로 썼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