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스페셜
"
망원경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자기장 10억분의 1 수준 극한 과학으로 암흑물질 탐색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4
생긴 미세한 주변 환경 변화를 통해 암흑물질의 정체를 확인한다.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측정한 약한 중력렌즈 효과를 토대로 대규모 암흑물질 분포를 3차원으로 재구성한 모습이다. 위키미디어 제공 암흑물질의 유력한 후보로 먼저 떠오른 것은 ‘윔프(WIMPs)’라는 물질이다. 윔프는 약한 ... ...
150만km 바깥 우주서 찍은 우주
망원경
의 셀피…제임스웹 첫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22.02.13
완료되는 오는 6월 말 정도에 본격적인 관측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이 첫 번째로 관측할 천체는 밝기가 균일한 천체인 대마젤란은하가 될 가능성이 크다. 대마젤란은하는 지구에서 약 17만광년 떨어져 있는 가장 가까운 은하 중 하나로, 별의 탄생이 지속 진행되고 있다. ... ...
'지구도 겪을 마지막 숙명' 백색왜성에 흡수되는 행성의 마지막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02.10
확인된 바 있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45광년 떨어진 백색왜성 G29-38을 찬드라 X선 우주
망원경
을 이용해 관측해 이같은 장면을 처음 확인했다. 백색왜성 근처를 도는 파괴된 천체 중 일부는 별에 중력으로 끌어당겨지면서 표면에 부딪혀 흡수되는 '강착' 현상을 일으킨다. 이때 충격으로 10만~100만 ... ...
빛 굴절 중력렌즈 효과 활용 외톨이 블랙홀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2.02.08
Astrophysical Journal)에도 제출돼 동료심사를 받고있다. 연구팀은 허블 우주
망원경
과 지상
망원경
을 동원해 6년여의 관측 끝에 결과를 얻어냈다. 배경 별빛이 천체의 중력장 영향을 받아 굴절되고 더 밝아지는 '중력렌즈 효과'를 활용해 외톨이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했다. 별 질량 블랙홀은 태양의 2 ... ...
10년 만에 추가된 지구의 두 번째 트로이 소행성
연합뉴스
l
2022.02.03
파촌 천문단지에서 미국 국립 광학·적외선 천문학연구실(NOIRLab)이 운영하는 4.1m SOAR
망원경
을 통해 L4에서 두 번째 소행성의 존재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2020 XL5가 탄소가 풍부한 검은 천체로, 지름이 약 1㎞에 달해 약 300m에 그쳤던 2010 TK7보다 큰 것을 확인했다. 또 L4 주변부에 있어 지구와 ... ...
'우주의 눈'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전원 켜졌다…6월말 첫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2.02
대마젤란은하의 내부 상태와 진화과정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이 별의 탄생이나 우주 생성과 진화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우주를 보는 최첨단 눈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최종 목적지에 안착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직후 우주 생성 초기 신호를 포착하고 외계행성을 찾는 임무도 맡았다. 제임스웹은
망원경
의 장비를 정밀하게 정렬하는 작업을 약 3개월 간 진행하고 장비 시험을 거쳐 이르면 올해 6월경 관측 이미지와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역시 '행성사냥꾼'… 테스가 찾은 태양계 밖 세계 5천개 돌파
연합뉴스
l
2022.01.24
임무 첫해에 탐사했던 남반구 하늘을 다시 관측해 발견했다. 현재는 케플러 우주
망원경
이 관측한 북반구 하늘에서 외계행성 후보를 관측 중이다. TOI 매니저 캐서린 헤세는 "테스 임무 연장 첫해의 관측 자료로 많은 행성 후보를 TOI에 추가했으며 남은 임무 기간에 다중 행성계를 얼마나 더 ... ...
[과학게시판] 중앙과학관, 제임스웹우주
망원경
팝업 전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웹
망원경
의 관측장비와 과학미션, 허블우주
망원경
과의 차이점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소형모델과 인포그래픽도 마련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기후변화대응 전담기관’ 현판 제막과 수여식을 진행했다. 기후변화 ... ...
폭 1㎞ 소행성 19일 오전 지구 근접 통과…충돌 가능성은 없어
연합뉴스
l
2022.01.12
일 오전 6시 51분이다. 이 소행성을 맨눈으로 보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작은 천체 관측용
망원경
정도로는 볼 수 있을 것이라고 CNN은 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인용해 전했다. 이는 지구를 지나간 가장 큰 소행성은 아니다. 2017년 10월 1일(미국 동부시간 기준) 지구를 비켜 간 3122 플로렌스(1981 ET3)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