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스페셜
"
밀도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속검사 능력 확대·교내 밀집도 앱 공개…서울대 대면 수업 확대 준비 속도
2021.09.22
등 안전한 대면 수업 운영이 가능하도록 조치하기로 했다. 교내 식당에서도 이용객의
밀도
를 낮추기 위해 운영 시간 연장과 포장 판매 도입 등 방역을 최우선으로 하는 방안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서울대는 신속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소인 '원스톱 신속진단 검사센터'는 기존 2곳에서 이번 ... ...
[표지로 읽는 과학] 더 강하고 가벼운 금속재료를 만드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1.09.19
하나다. 티타늄은 다른 금속 재료에 비해 높은 비강도를 지녔다. 비강도는 재료의 강도를
밀도
로 나눈 값으로 값이다. 가벼우면서 튼튼한 재료의 경우 높은 비강도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순티타늄은 높은 비강도를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강도 자체는 높지 않다. 강철에 비해 무른 ... ...
[과기원은 지금] 김형진 GIST 교수팀, 기존대비 고성능 실리콘음극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개발했다고 밝혔다.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연음극보다 이론적으로 10배가 넘는 에너지
밀도
와 친환경적 성격을 가져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어플라이드 서피스 사이언스’에 지난 10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 ...
[카드뉴스] 무더위에 견디도록 진화한 인체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전도: 주위의 사물과 몸이 닿을 때 열이 이동하는 현상 대류: 기체나 액체에서 부분적인
밀도
차로 인해 생기는 흐름 몸은 복사, 전도, 대류, 그리고 땀의 증발을 통해 체내의 열을 방출합니다. 복사, 전도, 대류를 통한 열 방출의 효율은 주위 온도가 올라갈수록 급격히 떨어집니다. 특히 체온보다 높은 ... ...
열전도도 2배 높인 전기차 배터리 방열소재로 시장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개발해 일본 기업들의 독점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가격은 알루미나와 비슷하면서도
밀도
는 90%로 가볍고 방열성능도 2배 이상 높인 소재로 올해 6조 원 규모인 세계 방열소재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연구소기업 ‘소울머티리얼’도 10월 중 차리기로 했다. 한병동 재료연 책임연구원은 ... ...
[프리미엄 리포트]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
과학동아
l
2021.07.31
말 출시될 압테라의 자동차는 미국에서 사전예약 4000대를 돌파했다. 다만 땅이 좁고 인구
밀도
가 높아 지하주차장이 많은 한국에서도 인기를 끌지는 미지수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과학동아 8월호, Chapter 3. 친환경 세상에 플러그인 전기차 https://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2108N005 Part1 ... ...
미생물이 플라스틱 만드는 과정 처음 관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개발하면서 세포 내 고분자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됐다”며 “예를 들어
밀도
가 높다고 하면 세포 내에 플라스틱이 얼마나 뭉쳐질 수 있는지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특훈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미생물의 PHA 생산 원리에 대해 더욱 깊은 이해가 가능해졌다”며 “생물학과 ... ...
지구 밖 첫 지진파 연구로 화성 내부 구조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핵보다는 작은 크기지만 과학자들이 예측했던 1400km보다 큰 결과다. 과학자들은 화성의
밀도
가 지구보다 낮아 철과 니켈 같은 무거운 원소가 몰려 있는 핵이 화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지구보다는 작을 것으로 예상해왔다. 연구팀은 철과 니켈 사이 산소와 같은 가벼운 원소가 포함됐을 것으로 ... ...
델타 변이 전파력 강한 이유 “잠복기 짧고 바이러스량 1000배 이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바뀌는지 추적했다. 그런 뒤 2020년 기존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 63명의 바이러스 입자
밀도
패턴과 비교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메드아카이브’에 1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분석 결과 델타 변이 감염자들은 감염 4일 후 바이러스가 처음 검출됐다. 잠복기가 4일에 불과했던 ... ...
뜨거운 날씨로 점점 높은 하늘에 뜨는 구름, 온실효과로 지구온난화 더 가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20일 공개했다. 구름은 대기의
밀도
와 높이와 같은 속성에 따라 지구 온난화를 증폭시키거나 약화시킬 수 있다. 고도 2km 이하에 생기는 하층운은 있으면 태양 복사 에너지가 지면에 닿는 것을 차단해 냉각효과를 준다. 지표면에 구름 그늘이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