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상대방"(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 대해서는 실수로 어쩔 수 없이, 내가 ‘한’ 게 아니라 그렇게 ‘된’, 해가 크지 않았고 상대방도 빨리 잊었을 것이라며 의도와 결과의 나쁨을 평가절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사고방식 때문에 세상에 악행은 넘쳐나지만 자신이 선하다고 믿는 사람은 여전히 많은 모순이 발생하는 것 같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 내민 작은 손길이 누군가에겐 '희망'이다2019.06.22
- 사람들에 비해 기꺼이 많은 양의 핫소스를 붓는 모습을 보인다. 또는 게임을 한 다음에 상대방이 져서 벌칙을 주어야 하는 상황일 때, 소외당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강도 높은 벌칙을 더 오래 부여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여기서 소외 당하고 저기서 화풀이 하는 식이다. 한 번 큰 소외감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보고 상대방의 성적 취향 같은 특성을 파악하는 경우가 있다. 서로 인과관계가 있을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뇌피질 호문쿨루스(cortical homunculus)라는 게 있다. 뇌의 감각 피질과 운동 피질이 맡고 있는 면적에 비례해 인체를 묘사한 것이다. 감각 피질 호문쿨루스와 운동 피질 호문쿨루스 둘 다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2019.05.28
- 한 판의 체스는 수 싸움의 연속이다. 수 싸움을 다른 말로 하면 논리적 사고 실험이다. 상대방이 둘 수 있는 모든 경우를 상상하고, 그에 대응하는 수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체스 판에 논리적 그림을 그리는 것과 마찬가지다. 두 수, 세 수 앞을 내다보는 것은 그림을 정교화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해자에 동조하는 사람들 2019.03.30
- Key & Ridge, 2011). 연구자들은 성폭력 경향성을 측정했다. 연구자들은 성차별적인 사고방식, 상대방이 원치 않는 성적인 농담이나 성적 행위를 하는 것에 죄책감이 없고 강간 문화에 익숙한 정도에 대해 물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폭력은 ‘한 순간의 실수’이기보다 오래된 성차별적 의식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2018.12.29
- 나를 괴롭히기 위해 일부러 그랬다거나 애초에 그 정도밖에 안 되는 인간이란 뜻이라며 상대방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해석을 내리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쉽게 ‘이별’이란 파국을 맞는 경향을 보인다. 상대를 좋거나 아님 나쁜 인간의 이분법 안에서 판단함으로써 작은 해프닝으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 것을 비교적 두려워하지 않고, 다양한 의견에도 열린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으며, 상대방을 잘 존중하는 특성 때문에 지적 겸손 정도가 높은 사람들이 많은 사회가 그렇지 않은 사회에 비해 토론을 감정 싸움으로 만드는 일이 적고 더 나은 합의를 도출할 것으로 이야기 된다. 나 역시 최근에 비슷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2018.08.05
- 모나거나 까칠하지 ‘않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규범, 나의 말과 행동이 상대방으로 하여금 나를 싫어하게 만들지는 않은지 열심히 탐색하는 자기 검열과 눈치보기 등 우리가 사회적 동물로서 자연스럽게 짊어지고 있는 짐들이 우리의 예상보다 더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2018.04.14
- al., 2014). 나라는 사람 전반 VS. 나의 한 가지 행동 하지만 내 행동과 큰 괴리가 없거나 상대방의 호의에서 나온 칭찬의 경우 잘 받고 기뻐하면 좋을텐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 연구자들은 전반적인 속성 VS. 행동 중 칭찬을 받을 때 주목하는 초점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한다. Kille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GIB 제공 인간은 판단하는 동물이다. 새로운 무엇을 봤을 때 ‘이게 뭐지? 어떻게 쓰는 거지? 좋은 건가, 아니면 나쁜 건가?’ 등 다양한 질문을 떠올리듯 사람을 처음 봤을 때도 비슷한 질문들을 떠올린다. 특히 사람이 사람을 판단할 때 쓰는 기준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고, 우리가 어떤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