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원산지
본바닥
스페셜
"
서식지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온난화로 해양생물이 육지생물보다 2배 빨리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4
현재
서식지
에서 살 수 있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온도 상승으로 인해
서식지
에서 사라지고 있는 해양 생물종의 비율이 육지 생물종보다 2배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해양 생물종의 경우 생물이 살기 어려운 고온 환경 경계에서 사는 경우가 많았다. 육지 생물은 숲속이나 그늘 속에서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핼리 만에 살던 황제펭귄 가운데 사라진 절반을 제외하고 나머지 절반은 부근의 다른
서식지
로 이주한 사실이 밝혀졌다. 핼리 만에서 약 55km 떨어진 또다른 군집의 개체수가 2016년 이후 갑자기 10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5년에는 약 1200쌍의 황제펭귄이 살았지만, 2018년에는 1만 4000마리로 이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타고 다닌다) 삭막한 철창 안에 살고 있었다. 반면 원숭이 가운데 몇몇 종은 자연
서식지
를 모방해 꾸민 꽤 널찍한 야외 우리를 배당받아 지내고 있었다. 물론 유인원이 원숭이보다 좋은 환경에 살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침팬지 동물실험 금지에서 알 수 있듯이 인류에 가까운 종은 특별대우를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충분히 마련돼 있었어요. 많은 분들과 함께
서식지
보호 활동을 하면서 생물의
서식지
를 지켰을 때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싶어졌답니다.” 정다미 연구원은 어릴 적부터 수리부엉이뿐만 아니라 모든 새에 관심이 많았다. 그러다 대학원에 입학한 뒤로는 쭉 제비 연구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일단 감염되면 쫓아낼 방법이 없다. 코알라의 개체수가 크게 줄어든 것도 문제지만
서식지
단절로 인한 근친교배도 심각하다. 특히 호주 남부의 코알라가 더 심해 고환이 비정상인 개체가 태어나고 있다. 따라서 유전자 다양성이 큰 북부 코알라를 데려와 유전자를 풍부하게 만드는 일이 시급하다.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1
구름의 양, 바다가 보이는 거리 등을 상세하게 기록했어요. 남방큰돌고래의 행동, 습성,
서식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선 관측 당일의 기상 조건도 중요하기 때문이지요. 일반적으로는 구름이 하늘을 많이 덮어서 바다가 회색빛으로 보일 때 더 관찰이 쉽다고 해요. 기록을 모두 마친 뒤,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수 있단 의미다. 물과 함께 발산하는 열도 적기 때문에 열 손실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서식지
의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은 식물의 잎 크기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런 전통적 분류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식물들도 나타나며, 새로운 분류법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를 위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9
한 예로 미국 뉴욕 시는 80억 달러(9조2000억 원) 규모의 수질정화시설을 만드는 대신 습지
서식지
를 복원하기로 결정했다. 저수지에 해초를 심는 편이 정화시설 설치보다 돈은 적게 들면서도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해초밭이 줄어들고 있다. ‘사이언스’는 사람들의 ... ...
조류독감, 발병의 주범은 오직 ‘철새’?
2016.12.22
오는 이맘 때쯤, 가족 단위로 사람을 모아 몇몇 군데의 생태공원에서 철새가 사는
서식지
를 방문해 철새의 생태를 관찰하는 프로그램을 한달에 몇 번씩 운영하곤 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일은 분명 일상적인 일은 아닙니다. 그럼 이제 다시 철새부터 이야기를 시작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종이 살 수 있는 영역이 섬처럼 흩어져 있는데 이게 국지개체군이다. 인류가 농사를 짓고
서식지
를 넓히면서 동식물이 살 수 있는 영역이 점점 파편화되면서 메타개체군이 늘어나고 있다. 메타개체군 분야를 개척한 생태학자 일카 한스키(Ilkka Hanski)가 지난 5월 10일 63세로 별세했다. 1953년 핀란드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