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든
모두
죄다
스페셜
"
온갖
"(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따루와 박석재의 별밤 오디세이 [제4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4.21
그는 바로 천재소년으로 알려진 송유근?! 아인슈타인에 얽힌 과학 이야기부터
온갖
분야의 잡담까지 깨알 같이 쏟아내는 두 MC의 별별 이야기! 제4편에서 확인해보자.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서영표 sypyo ... ...
[생활 속 기술]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
KOITA
l
2014.04.17
단편영화 경연대회에서 우승했다. 상금은 20만 달러(2억 1700만 원)였다. 이들의 이야기는
온갖
창조적인 경연대회를 휩쓰는 듯 했다. 이들은 이 동영상에서 사업에 뛰어든 계기를 이렇게 설명했다. “2003년 미국 환경청(EPA)의 발표를 보면, 부피 기준으로 매립되는 쓰레기의 20%가 플라스틱이었어요.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그런데 오늘날은 기억조차 ‘고물가게’로 또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다량의
온갖
이미지와 닳아빠진 상징들이 완전히 뒤죽박죽으로 꽉 차 있는 창고’로 전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고물가게는 사물들이 널려 있을 뿐이고 기억도 망각도 하지 못한다. 이 구절을 읽다가 문득 예전에 책인가 ... ...
따루와 박석재의 별밤 오디세이 [제3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시대. 화성은 진정 인류의 뉴타운이 될 수 있을까? 화성에 얽힌 과학 이야기부터
온갖
분야의 잡담까지 깨알 같이 쏟아내는 두 MC의 별별 이야기! 제3편에서 확인해보자.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서영표 sypyo ... ...
[Keyword로 읽는 과학] 좀비가전, 냉장고 문이 저절로 스르륵?!
KISTI
l
2014.03.19
엉뚱한 곳에 떨어뜨리게 만든다. 그저 영화 속에서만 있는 일이라고 안심할 수 없다.
온갖
사물이 서로 연결되어 인간의 의지와 상관없이 작동하게 될 때 엘리베이터는 언제든 생명을 위협할 테니까. 보안을 위해 설치한 디지털 도어록이나 CCTV가 도리어 도둑에게 제 발로 문을 열어주고 증거를 ... ...
별밤 오디세이 [제2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천문학자 ‘별 볼 일 있는 남자’ 박석재 박사! 두 아저씨가 별을 향해 쏟아내는
온갖
잡담과 뒷이야기! 우리나라 유일의 고품격 천문프로그램, 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별밤오디세이 2회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오리온 하면 생각나는 것, 초코파이? 메탈리카? ... ...
별밤 오디세이 [제1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1.29
천문학자 ‘별 볼 일 있는 남자’ 박석재 박사! 두 아저씨가 별을 향해 쏟아내는
온갖
잡담과 뒷이야기! 우리나라 유일의 고품격 천문프로그램, 가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별밤 오디세이 1편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첫 편부터 안드로다! 흔히 ‘개념 없다’, ‘미궁으로 ... ...
[이달의 역사]적군도 친구도 예외 없는 도청의 세계 ①
KISTI
l
2013.12.13
있는 것들을 골라내는 기술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미국을 곤경에 빠뜨린 ‘프리즘’도
온갖
채널과 매체를 통해 매일 오가는 수천 억 건의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갖췄다. 어쩌면 우리가 하는 모든 말과 행동이 지금도 각국 정보기관의 서버로 흘러들어가 분석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리모콘처럼 ‘기술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라는 말을 실천하기라도 할 양,
온갖
복잡한 기술을 동원하여 여러 가지 편의기능을 달아놓고 현실과는 다르게 꾸밀 수 있는 것이야말로 온라인의 장점이라고 강변하는 서비스가 유행했다. 그러나 한차례의 인기가 지나간 지금, 온라인 서비스는 다시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좋아?’ 수준의 질문. 실제로 과학자나 이공계 전공자들에게 이 질문을 던져보면 당장
온갖
철학과 역사와 이성에 대한 토론회가 열려버린다. 과학적 방법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아리스토텔레스나 뉴턴을 언급할 것이고 20세기의 위대한 성취를 중시하는 사람들은 아인슈타인이나 다윈을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