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스페셜
"
지난
"(으)로 총 5,2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학술지에 실리지 않은 것으로 보아 확실하지는 않은 것 같다. ● 펄서의 동반성 실체는
지난
달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질량 공백 범위의 동반성을 지닌 펄서를 관측했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연구자들은 여러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이 쌍성계의 질량을 태양의 3.887배로 추정했는데, 펄서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다윈의 진화론은 시간이 지날수록 처음보다 동조하는 이들이 많아져 165년이
지난
지금은 대다수 학자들에 의해 진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간화석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다윈은 제대로 답을 못했을뿐 아니라 장차 빈 자리를 메꿀 화석이 발견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했다. 그러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산호초로 보는 엘니뇨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4.02.04
페루, 칠레 연안 등 적도 부근의 수온이 평년에 비해 높아지는 기후 변동 현상이다.
지난
1월 1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따르면 2023년 지구 온도는 기상 관측 역사상 가장 높았다. 따뜻한 물이 동태평양으로 유입되는 엘니뇨 현상도 2년째 지속됐다. 1일(현지시간) '사이언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경로를 정확히 찾고 이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앞서
지난
2019년 뇌 후방부위 뇌척수액이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을 통해 목 부위 안쪽 림프절로 배출되고 노화에 따라 림프관이 퇴화하면 뇌척수액 배출 기능이 저하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세포막에 LPS가 쌓이며 세포가 죽는다(오른쪽). 네이처 제공 ● 지질다당류 수송 방해
지난
주 학술지 ‘네이처’에는 CRAB에 효과적인 새로운 계열의 항생제 약물을 찾았다는 논문 두 편이 나란히 실렸다. 둘 다 스위스 제약회사 로슈와 미국 하버드대 공동 연구팀의 결과로 하나는 약물의 약리 효과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사정이 크게 달라지지도 않았다. 수돗물 불소화 사업을 처음 시작하고 20년이
지난
2001년에도 전국 31개 지역 36개 정수장에서 불소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수돗물 불소화 사업의 수혜인구는 443만 명으로 총인구 중 9.4%에 지나지 않았다. 수돗물 불소화 사업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극복하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2500년 전 아마존 '고대 도시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생활하는 부족만 드문드문 흩어져 살았을 것이라는 게 주된 시각이었다. 하지만
지난
20년 간 볼리비아부터 브라질에 이르는 거대한 아마존 유역에서 피라미드, 토루 등이 발굴되며 고대 아마존에 예상보다 훨씬 더 문명화된 도시 사회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로스탱 교수 연구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못했다. 현재 프리미어리그 득점 3위와 6위, 최근 프랑스 슈퍼컵을 들어 올린 이강인,
지난
해 발롱도르 22위로 수비수 가운데 가장 높은 김민재 등 어느 때보다도 화려한 선수진을 자랑하는 우리나라가 이번에는 꼭 우승했으면 좋겠다. 아울러 경기 해설이나 뉴스에서도 프리미어리그처럼 기대득점 ... ...
[과기원NOW] KAIST-MIT, 양자 정보 겨울학교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1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상위 0.45%를 기록한 안효성 기계공학부 교수는 “GIST는
지난
해 QS 세계대학평가의 교수 1인당 교수 피인용수 부문에서도 16년 연속 국내 1위를 달성하는 등 세계 정상급 연구역량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설날에 대한 혼선이 생기기 시작했다. 동지(冬至, 양력 12월 21일)로부터 열흘이
지난
양력 1월 1일이 새로운 ‘설날’이 되었기 때문이다. 1895년 11월 중순까지 음력을 사용하던 대한제국이 한 달 반을 건너뛰어 새로운 새해를 선포했다. 세계 표준으로 알려지고 있던 달력을 받아들여서 근대화의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