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테나
더듬이
공중
안테너
말더듬이
뿔
촉수
스페셜
"
촉각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원전 안전을 부탁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일어난 지 8년이 지났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세계 각국 정부는 원전의 안전성에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원전사고는 되돌릴 수 없는 치명적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사고 예방, 유사시 신속한 대처가 중요하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안전을 강화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
[두통인구 100만 시대]⑤ 진통제로부터 해방(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통증이 심한 환자가 게임에 집중하면서 통증 자체를 잊게 하는 원리다. 시각과 청각,
촉각
등 인지해야 하는 감각정보가 많을수록 주의가 분산돼 통증이 점점 무뎌진다. 비슷한 실험을 미국 로스앤젤레스 아동병원과 서던캘리포니아대 의대 공동연구팀도 수행했다. 연구팀은 VR이 두통과 만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반점에 물고기가 이물감 또는 약간의 통증을 지속적으로 느끼기 때문에 엄밀하게 말하면
촉각
의 도움을 받았다. Alex Jordan 제공 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2월 7일자에는 청줄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가 원숭이 수준의 자기인식 능력이 있음을 거울 마크 테스트로 입증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맨눈으로는 존재도 알기 어려울 정도로 작고 미뢰(맛을 느끼는 세포의 집합체)가 없어
촉각
에만 관여한다. 1982년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고양이 실유두는 손톱과 같은 케라틴 성분의 가시로 속이 찬 원뿔 모양이다. 미국 조지아공대 기계공학부 데이비드 후 교수팀은 마이크로-CT(컴퓨터단층촬영 ... ...
발사 준비 '착착'…시험발사체 최종 발사시각 오후 2시30분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하고 있다. 기기와 설비 점검은 이른 오전에 이미 마쳤고, 지금은 기상 상황에 가장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항우연 관계자는 “새벽부터 대기중 기상관측기구(라디오존데)를 띄워 고층풍을 확인하고 공군기의 도움을 받아 구름의 두께를 파악하고 있다”며 “오후까지 계속해서 기상을 확인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모습을 볼 수 있다. - 사이언스 로봇공학 제공 비싼 가격이 걸림돌 그런데 왜 단순
촉각
이 아니라 부정적인 감각인 통증까지 느끼게 만들었을까.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통증이 본질적으로 몸을 보호하기 위해 진화한 신호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설사 의수라도 다치면 안 되기 때문에 ... ...
지퍼가 열리니, 부도체 물질이 반도체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6
얻었다”며 “화학적 반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키는 이 소재를 이용해 향후 청각이나
촉각
을 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되고 그 변화를 인식해 습도가 높다고 느끼게 된다. 즉 우리 온각센서가 열을 느끼고
촉각
이 습기를 느끼면서 후텁지근하다는 느낌을 받고 이는 체온조절의 실패 위험성을 경고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뇌는 불쾌하다고 해석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성공했다. 그에게서 GFP 유전자를 지닌 대장균을 받은 컬럼비아대 마틴 찰피 교수는 1994년
촉각
수용체세포에서만 녹색 형광이 나오는 예쁜꼬마선충을 만들어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첸 역시 프레이서에게서 대장균을 받았고 화학자답게 먼저 형광 메커니즘을 연구해 1994년 이 과정에 산소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2배 더 정확한 뇌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15
세어보면 무려 180개. 각 조각은 담당하는 역할도 다르다. 붉은색은 청각, 초록색은
촉각
, 푸른색은 시각, 회색은 인지능력 그리고 여러 색이 섞인 곳은 각 기능들이 혼합된 부위다. 국제 공동연구진은 인간이 아직 완전히 해독하지 못한 뇌의 비밀을 풀기 위해 뇌가 각 부분별로 어떤 기능을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