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age
장
페이쥐
면
패이지
페쥐
쪽
스페셜
"
페이지
"(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한의학연 홍보영상 공모전 대상에 '플래티넘'팀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3.27
수여됐다. 대상을 비롯한 본선 진출작의 영상은 한의학연 홍보영상 공모전 유튜브
페이지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QF3lg7P2rz3aESQZ9o-lDrd6WB2QFI44)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후원으로 정보통신기술(ICT)에 관심이 많은 초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 ...
“유독한 환경-스트레스가 치매 일으켜” 류훈 KIST 뇌과학연구소 단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그는 환경이 ‘DNA를 읽고 쓰는 법’을 바꿨을 가능성을 살폈다. 똑같은 책을 주고 집게로
페이지
여기저기를 읽지 못하게 집으면 읽는 내용이 바뀐다. 우리 몸의 DNA도 마찬가지여서 같은 DNA를 지닌 쌍둥이도 집게로 일부분을 집으면 DNA라는 책을 ‘읽는 법’이 달라진다. 그 결과 걸리는 병과 신체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④첫 번째, 코딩 준비 운동하기
2019.02.25
문제는 매번 자동 생성된 코드를 지워야 한다는 점인데, 여간 귀찮은 게 아니다. 마이
페이지
등에서 설정해보려 했으나 메뉴를 찾지 못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으면 연락 부탁한다. 시간이 꽤 지난 듯해 시계를 봤다. 40분을 훌쩍 넘겼다.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등 더 진행해야 하는 것들이 있었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18개 열에서 32개 열로 늘어난다. 사실 오늘날 주기율표는 32개 열로 이뤄져 있는데, 한
페이지
에 이를 그대로 쓰면 글자가 너무 작아진다. 따라서 불과 두 줄인 f 블록 14개 열을 아래로 뺀 것이다. 다만 ‘미결정 주기율표’는 3족의 칸을 비워뒀기 때문에 아래로 뺀 게 15개 열이다(f 블록 14개 열 + 1 ... ...
[과학게시판] 카오스재단 '기원, 궁극의 질문들' 주제로 봄 정기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관련된 분야의 연구자들이 강연자로 나선다. 강연 신청은 이달 27일까지 카오스재단 홈
페이지
(www.ikaos.org)에서 할 수 있고 수강료는 무료다. 신청자가 300명을 넘으면 추첨을 통해 선정한다. 강연은 포털사이트를 통해서도 생중계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주제로 한 학술모임을 정리한 요약문을 기고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로젠버그는 한
페이지
분량의 글에서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가장 두드러진 수치의 변화는 근육량 감소라고 썼다. 그는 이 현상을 좀 더 진지하게 다루려면 이를 가리키는 이름이 있어야 한다며 자신이 만든 이름을 제안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을 잘 통제하는 사람이 쓰는 세 가지 전략
2019.01.26
달성하고 성취감을 느끼길 좋아한다. 좀 지루한 책이나 긴 논문을 읽을 때에는 앞으로 몇
페이지
남았다고 남은 수를 '카운트다운'하는 것 또한 내게는 동기 부여가 된다. 내가 자주 사용하는 또 한 가지 전략은 (생각 조절하기 또는 반응 조절에 포함될 것 같다) 너무 귀찮고 손가락 까딱하기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코딩 교육, 과연 필요한가?
2019.01.21
먼저 포털에서 ‘어린이 코딩 교육’으로 검색해보았다. 갖가지 교육 학원의 검색광고가
페이지
상단을 차지했다. 아이들에게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필수적인 창의력을 발굴하잔다. 예상 못한 바 아니다. 어찌 됐던 이미 코딩 교육을 원하는 사람은 생겨났다. 시장은 그들의 구매력을 가만히 두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다만 본문은 1871년 초판본을 그대로 찍은 것이기 때문에 423쪽에서 1권이 끝나고 다음
페이지
에 2권 표지와 목차가 나오고 다시 1쪽부터 시작한다. 그러다 보니 뒤의 찾아보기에서 쪽수 앞에 1권(i.)과 2권(ii.)이 표시돼 있다. 다행히 2006년 두 권짜리 한글판이 나왔는데 원서보다 합리적으로 나눴다.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호킹 지수’라는 지표가 있다. 책의 전체
페이지
를 100
페이지
라고 가정할 때 실제 읽은
페이지
를 나타내는 숫자로, ‘시간의 역사’를 실제로 읽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에 착안해 만들어졌다(참고로 ‘시간의 역사’의 호킹 지수는 6.6이다). ‘시간의 역사’에는 그의 질병에 대한 언급이 두 세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