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해독"(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동아사이언스 l2020.10.14
- 방역활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인공제조’ 루머 낳은 바이러스의 가계도 해독된 바이러스 게놈은 기존에 알려져 있던 병원성 코로나바이러스와 비슷하면서 달랐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스)과 가장 비슷했지만 공유하는 게놈 염기서열은 79%였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2020.10.13
- 박테리아가 파지에 맞서는 또 다른 방어체계를 찾아보기로 했다. 이들은 게놈이 해독된 박테리아와 아키아 4만5000여 종을 분석해 제한효소와 크리스퍼 관련 유전자들 주변에서 새로운 방어체계 유전자 후보를 뒤졌다. 방어체계 유전자들은 게놈에서 서로 몰려 있다는 데 착안한 것이다. ...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동아사이언스 l2020.10.05
- 해독장치 ‘미니온’이 읽어낸 데이터를 분석해 30분 만에 코로나바이러스 염기서열을 해독한다. 가번의학연구소 제공 속도는 빨라도 정확도는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이 미니온과 제노포로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 9명에게서 분리한 바이러스를 분석한 결과 실험실에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와 ... ...
- '코로나19 극복은 새로운 도전' 노벨상 수상자도 팔 걷어붙였다동아사이언스 l2020.10.05
- 명을 대상으로 신속하게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진행했고,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RNA를 해독하는 등 코로나19 대응을 지휘했다. CCC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6월 18일자에도 조명됐다. 랫클리프 교수는 유럽연합(EU) 과학기구인 유럽연구이사회(ERC)와 인터뷰에서 ... ...
- [이덕환의 과학세상]포기할 수 없는 화학물질, 차라리 친해지자2020.09.30
- 그런 이유 때문이다. 독성 화학물질의 정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피해를 예방하거나 해독하는 방법을 알아두면 될 일이다. 화학물질에 대한 지나치게 화려한 주장은 멀리하는 것이 좋다. 무슨 병이든지 깨끗하게 고쳐준다는 만병통치약은 세상 어디에도 없다. 영국의 과학철학자 칼 포퍼에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2020.09.10
- 분자생물학의 중심부에서는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빠른 속도로 해독되고 있었고, 생물학자들은 이 정보를 사용해 생물종의 진화적 관계를 연구하는데 사용하고 있었다. 서열정보가 많아질 수록, 이 정보를 진화적 해석에 사용할 수 있는 여지도 넓어진다. 하지만 ... ...
-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변종 코로나' 등장...과학계 "아직 단정 일러"동아사이언스 l2020.08.31
- 일본 내 코로나19 바이러스 게놈 계통도다. 7월 중순까지 수집된 3700여 개의 게놈을 해독해 변이 수와 유형을 바탕으로 네트워크를 그렸다. 중국 우산에서 발발한 유형(파란색)과 유럽형(노란색)이 차례로 유행한 가운데, 일본 도쿄를 중심으로 6월 중순부터 새로운 변이의 바이러스가 유행하고 있는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2020.08.27
- 참고서적이었다. 데이호프가 NBRF에 설치한 데이터베이스는 처음엔 아미노산 서열을 해독한 연구자들이 데이호프가 개발한 형식에 맞춰 데이터를 보내면, 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의 도해서 책을 선물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선물경제는 지극히 비효율적이었고, 현장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2020.08.20
- 바이러스를 더 이상 보유할 필요가 없다고 결론지었다.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모두 해독한 것이 1994년으로 더 이상 이와 관련된 정보를 얻거나 백신개발을 위해서 또는 동물모델 개발을 위해서조차 필요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미국과 러시아는 아직도 바이러스를 폐기하지 않고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2020.08.13
- 않아서, 염기서열을 연구하던 생물학자들은 정보과부하를 경험하게 된다. 이제 염기서열해독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서열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직화하고 분석하는 일 자체가 중요해진 것이다. 1979년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록펠러 대학에서 미팅이 열린다. 이 모임은 분자생물학자 칼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