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쟁
전투
싸움
투쟁
다툼
접전
격투
d라이브러리
"
교전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10
게 가능할까반면, 미국 조지아공대 로널드 아킨 교수는 “전쟁에 관한 국제법이나
교전
수칙을 지키도록 로봇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도 가능하다”며 “윤리적인 로봇 시스템을 도입하면 전쟁터에서 발생하는 민간인의 희생을 줄일 수 있다”고 반박한다. 그의 말을 증명하려는 듯, 5월 14일 미군은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09
표시한 것을 말한다.국립해양연구소의 조류 예측 결과와 난중일기 토대로 밝혀진 당시
교전
상황을 결합하면, 당시 울돌목에서 일어났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재현할 수 있다. 1597년 음력 9월 16일 오전 6시 30분 경 바닷물은 썰물에서 북서방향으로 흐르는 밀물로 바뀌었다. 이 밀물을 타고 일본함대는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10
대응 순서를 정하고, 발사대 상황을 고려해 어떤 발사대를 택할지 골라야 한다. 이때
교전
통제소로 입수되는 수많은 정보를 빠르게 자동으로 처리해야 한다.발사명령이 떨어지면 발사대에서 미사일이 발사된다. 천궁의 발사대는 모든 방향으로 발사하기 위해 수직 발사 방식을 택했다. 호크는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04
교육봉사를 진행했다. 봉사활동이 있기 며칠 전인 2월 4일에는 태국과 캄보디아 사이의
교전
으로 캄보디아는 준전시 상황에 처해 있었다. 봉사단은 과학나눔 행사를 중단할까를 고민했지만 “학생들과의 약속을 어길 순 없다”며 캄보디아로 향했다.이번 봉사단에 선정된 고려대 학생은 총 17명.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01
개의치 않는다는 듯 생명을 꽃피우고 있는 셈이다.사람도 마찬가지다. 언제 북한군과
교전
이 벌어질지 모르지만 주민들은 농사를 짓고 고기를 낚으며 살아간다. 신 작가는 백령도에서 이른 새벽에 출항하는 한 어민의 꽃게잡이 배를 함께 타고 나갔을 때의 느낌을 이렇게 적었다.“어둠 사이로 ... ...
레이저총 쏘며 고지를 점령하다
과학동아
l
200511
목표는 적의 고지를 점령하거나 아군의 진지를 방어하는 것이다. 그 속에서 끊임없이
교전
이 이어지고, 독가스가 터지며 적의 포격이 날아온다. 독가스 신호가 난 뒤 9초 안에 방독면을 써야 살아남는다. 산에는 군데군데 적이 설치한 가상 지뢰가 묻혀 있어 의심스러운 지역은 지뢰를 제거하며 ... ...
서해
교전
침몰고속정 떠오르다
과학동아
l
200209
고속정이 뒤집히거나 기울어져 있지 않아서 작업이 예상보다 쉬웠다고 밝혔다. 서해
교전
침몰 고속정의 인양 절차를 살펴보자.첫단계로 침몰 고속정의 위치 수색이 이뤄져야 한다. 침몰선박의 위치수색에는 사이드 스캔 소나와 같은 음파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두번째 단계에서는 선체의 놓여진 ... ...
세계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06
정도로 속도도 매우 빠르다. 임무도 대공중전, 대잠수함전 및 대함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미사일 공격을 할 수 있는 다목적 전투 시스템이 배치돼 있다.순양함, 구축함, 호위함한편 순양함은 8천-2만t의 배수량을 갖춘 군함이다. 함대를 구성해 지휘하면서 작전에 ... ...
1. 역사속의 암호
과학동아
l
199706
암호를 ‘스키테일 암호’라 부른다.스파르타가 페르시아와 동맹을 맺고 아테네와
교전
을 벌이던 때의 일이다. 스파르타의 라이산더 장군은 페르시아가 자신을 노리는 듯한 낌새를 챈다. 하지만 증거가 없었다. 만일 잘못된 판단으로 페르시아를 공격한다면 귀중한 동맹국을 잃는 처지가 돼버린다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05
전투진형은 점차 ‘기하학’적으로 일반화시키기 어렵도록 다양해졌다.부대가
교전
에서 패할 때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점이 제기되면서 2차 대전에는 ‘예비부대’의 중요성이 본격적으로 부각됐다. 최전선에서 싸우는 부대를 두군데 정도로 설정하고 후방에 이를 지원하는 부대를 배치한다는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