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갱
함정
트랩
굿
토굴
땅굴
허방다리
d라이브러리
"
구덩이
"(으)로 총 195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6
제259호 어름치가 그 주인공이지요. 어름치는 맑고 차가운 물이 흐르는 강의 바닥에
구덩이
를 파고 알을 낳은 뒤, 그 주변에 5~8cm의 산란탑을 쌓는 습성이 있어요. 최성국 연구원은 “산란탑을 쌓는 습성이 있는 민물고기는 어름치를 포함해 전세계에서 9종밖에 없다”고 덧붙였답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육칠 박사의 연구실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
열을 흡수해서 증발하며 온도를 낮춘답니다. 또한 야크찰 내부의 차가운 공기는 커다란
구덩이
에 저장돼 냉방 효과가 올라가지요.연구실에 설치된 에어컨을 한참 살펴보던 시원이는 뭔가를 알았다는 듯 환호성을 질렀어요.“드디어 문제를 찾았다! 에어컨 플러그가 안 꽂혀 있었어!”드디어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
과학동아
l
201706
연구팀은 최근, 호모 날레디가 처음 발견된
구덩이
로부터 약 100m 떨어진 또 다른
구덩이
에서 성인 두 명과 어린이 한 명 등 최소 세 명의 것으로 보이는 호모 날레디의 뼛조각 130여 점을 추가로 발굴하기도 했다.호크 교수는 “이번 추가 발굴로 호모 날레디가 멀고 어두운 동굴 속에 시체를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
과학동아
l
201705
사자나 호랑 이 같은 맹수들을 철창으로 두르는 대신, 사람과 맹수 사이에 깊고 넓은
구덩이
를 파 자연적으로 인명 피해를 줄이겠다는 식이었지요. 실제로 2000년대에는 동물이 야생과 비슷한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철창을 없앤 동 물원이 있었습니다. 또한 가상현실을 이용하거나 실제 와 똑 닮은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
사용하지는 않아요.생태학자들은 이 행동을 수컷들의 구애 행동이라고 보고 있어요.
구덩이
를 잘 파는 모습을 통해 둥지를 잘 만들 수 있는 능력을 암컷에게 과시한다는 거예요.바다오리와 타조도 마찬가지예요. 땅을 긁거나 파는 행위로 암컷을 유혹하지요. 이 동물들이 만든 흔적은 길이가 최대 2.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8
충돌한 지역이 모두 파괴될 수 있어요. 소행성이 바다에 떨어졌다면 엄청난 크기의
구덩이
가 생기고, 쓰나미가 생길 수도 있지요.또한 지구의 대기에도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어요. 충돌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대기 중에 있는 질소와 산소가 연소되면 질소산화물이 만들어지거든요. 이 ... ...
[핫이슈 ➊] 아이스에이지 지구대충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4
함께 멈춘 거랍니다.둘. 크레이터는 소행성의 비밀을 안다?똑똑한 지도자 벅은 운석
구덩이
인 ‘크레이터’를 찾으러 떠나요. 예전에 소행성이 충돌한 흔적을 연구하면 지금 날아오는 소행성을 막을 방법을 알 수 있다는 거지요.실제로 크레이터를 연구하면 소행성 충돌 당시에 어떤 일이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12
없이 들렸다. 스무 명 남짓한 사람들이 오전 내내 땀방울을 흘린 뒤에야 시체 24구를 모두
구덩이
에 묻을 수 있었다.범죄 현장이 아니다. 미국 테네시대의 시체농장에서 벌어진 상황이다. 2013년 2월 법의인류학센터에서는 ‘집단 매장’ 실험을 시작했다. 시체 여러 구가 한꺼번에 묻혔을 때 어떤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
수원청개구리와 제비 현장교육이 이뤄졌답니다. 수원청개구리를 찾으러 논의 진흙
구덩이
에 빠지고, 시장에서 제비 둥지를 찾아 헤맨 즐거웠던 현장을 만나 보세요!곳곳에 숨은 제비 찾기 시작!“안녕하세요! 4기 지사탐 제비 탐사 대장을 맡은 이화여대 행동생태연구실 정다미라고 합니다.”정다미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11
“피치 못할 때는 지상에 거주지를 건설하겠지만 거주지 1순위로 꼽히는 곳은 큰
구덩이
형태의 지형”이라며 “화성의 극한 환경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지하에 도시를 건설하고 둥근 형태의 차폐막을 만드는 게 가장 안전하다”고 말했다. 예컨대 크레이터와 같이 자연적으로 움푹 패인 지형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