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동장치"(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07
- 인류가 최초로 로켓을 우주로 날려 보낸 것은 1957년이었다. 그로부터 60년이 지난 현재까지, 우주로켓과 인공위성, 우주탐사선의 추진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기모터와 배터리, 3D프린터, 플라스마, 전자기파 등 우주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기술까지 도입되고 있다.◀ 발사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07
- “유출사고 발생! 대피! 대피!”6월 8일 목요일 오후 2시, 화학회사의 로고가 적힌 거대한 시멘트 건물과 노란 페인트를 칠한 크레인이 빼곡한 인천 남항. 바다 쪽 100m 밖에 설치한, 화물을 하역하는 돌핀부두에서 오렌지색 연막탄이 피어 올랐다. 짙은 연기 속에서 누군가 팔을 내저으며 뛰쳐나왔다.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07
- “가까이에 보석이 있는 걸 모르고 폐차장에서 고생만 했죠.”최지웅 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자동차 통신 기술을 처음 연구하기 시작하던 때를 이렇게 떠올렸다. 유선전화와 스마트폰 통신 시스템 전문가였던 그는, 벤처기업 경영진이자 통신전문가인 선배 강수원 박사의 제안으로 자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12
-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 최순실 씨가 각종 국정에 개입했다는 ‘최순실 게이트’로 대한민국이 떠들썩하다. 지난 10월 24일 JTBC가 최초로 공개한 최 씨의 태블릿 PC는 박 대통령이 취임한 2013년 신년사부터 대북원칙이 담긴 2014년 독일 드레스덴 공대 연설문 등 외교 및 안보에 중요한 자료가 ... ...
- [Knowledge] 최고를 향해 달리는 기술, 슈퍼카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612
- 슈퍼카와 스포츠카를 같은 종류의 차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좀 아는’ 사람들에게 둘은 엄연히 다른 차다. 특히 올해는, 슈퍼카의 기준을 제시한 ‘람보르기니 미우라’가 탄생한 지 50주년이 되는 해다.1965년, 이탈리아의 자동차회사 람보르기니의 엔지니어 세명은 기존 스포츠카와 다 ... ...
- [과학뉴스] 알아서 척척~ 학습하는 손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11
- 움직임을 스스로 학습하는 로봇을 개발해 발표했어요.연구팀은 24개의 관절과 40개의 구동장치로 이뤄진 손 로봇, 그리고 이 로봇을 조종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 이 프로그램은 손 로봇이 움직이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해 정확하게 움직이도록 수정해 줘요. 즉, 올바른 움직임을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11
- 인류가 달에 첫발을 디딘 지 47년이 흘렀다. 그동안 40대 이상의 무인 우주선이 화성으로 떠났고 그 중 일부는 우리가 몰랐던 화성의 아름다운 모습을 전해왔다. 이제 직접 우리의 눈으로 화성을 확인해야 할 때다.화성에 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다우주 항공 기술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했음에도, 화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10
- 9월 5일 오후 6시, 제주행 비행기. 착륙을 5분쯤 앞뒀을까. 해안을 따라 늘어선 수십 개의 하얀 막대들이 보였다. 연구를 위해, 혹은 실제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날개를 돌리고 있는 풍력발전기들이었다. 과연 ‘바람의 섬’ 제주다웠다. 이런 느낌은 비행기에서 내려서도 이어졌다. ‘풍차마을’이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06
- 011년 특허를 출원했다. 그의 로봇은 문어처럼 유체를 뒤로 내뿜어 앞으로 나아간다. 자체 구동장치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크기가 작다.이 교수는 “최근 비공개로 특허 출원된 기술 중 마이크로 로봇을 이용한 가상현실체험 관련 특허가 여럿 있다”고 말한다. “모두 실험실 수준의 연구들입니다.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02
- 종종 그립다. 한 번 충전하면 2~3일은 끄떡 없던 ‘피처폰’이. 지하철이나 공중 화장실에서 휴대폰을 충전하는 사람들이 10년 전엔 없었다. 그러나 어쩌랴, 휴대전화의 눈부신 발전 속도에 비해 배터리는 거북이 걸음이다. 설상가상 전자기기는 점점 작아져 배터리가 설 자리가 사라졌다.최근 ‘에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