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금속화폐"(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06
- ◈김창규◈작가 및 번역가로, 2005년 과학기술창작문예 중편부문에 당선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 014년과 2016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대상, 2 015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여러 지면에 SF 단편을 실었으며, ‘뉴로맨서’, ‘블라인드 사이트’, ‘이중도시’ 등의 외서를 번역했다.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08
- 우리 회사가 망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시도한 사업은 바로 흥부놀부 이야기를 흉내내서 박씨를 심어 보겠다는 것이었다. 처음 그 말을 듣고 나는 농담을 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농담이라고 하기에는 재미가 없었다. 우리 회사의 유일한 장점은 농담이 재미가 없으면 아무리 사장이 이야기 하더라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부피도 크고 파손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어요. 그래서 이후 금화나 은화 등의 금속화폐를 거쳐 지폐와 같은 신용화폐가 만들어졌지요. 그리고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전자화폐가 등장했고, 최근에는 가상화폐까지 나타났답니다.그런데 이렇게 현금 없는 시대가 가능해진 이유가 뭘까? 사람들은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12
- 온라인 게임을 하다 보면 게임 안에서만 쓸 수 있는 일종의 전자 화폐인 게임머니를 얻게 된다. 이 게임머니를 사용하면 게임 안에서 다양한 아이템을 살 수 있다. 그리고 종종 게임을 하다 보면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게임머니를 실제 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그런데 최근, ... ...
- 황금의 수, 18수학동아 l201211
- 2×9=18, 3×6=18, …. 숫자 18은 우리가 어렸을 때 외우던 구구단에 자주 등장해 친숙한 수다. 또한 애창곡 18번이나, 금 액세서리 18K 등에서도 떠올릴 수 있다. 18을 통해 어떤 이야기들을 찾아볼 수 있을지 기대하면서 11월의 숫자 여행을 시작해 보자.제1코스 블링블링, 18K의 비밀황금빛 광택이 나는 금 ... ...
- 1400년 미륵사 창건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0903
- “무령왕릉, 백제금동대향로 발견에 버금가는 성과!”지난 1월19일 문화재청이 공개한 전북 익산시 미륵사지석탑의 사리장엄구에 대해한 언론이 쓴 표현이다. 금제사리호(사리를 넣은 병), 금제사리봉안기(탑에 사리를 봉안한 배경을 적은 기록) 등 700여 점의 유물들은 백제 문화의 화려한 면모를 ...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과학동아 l200807
- 나는 더 이상 대답하지 않으면 안된다. 어디서그 일이 터질지 아무도 모른다, 어디든지가까운 지방으로 나는 가야 하는 것이다.이곳은 처음 지나는 벌판과 황혼,내 입 속에 악착같이 매달린 검은 잎이 나는 두렵다.1989년 단 한권의 시집을 남기고 서른 살의 나이로 요절한 시인 기형도의 ‘입 속의 ...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03
- 2006년 새해 벽두에 새롭게 옷을 갈아입은 오천 원권이 등장했습니다. 앞으로 천 원권, 만 원권도 새로운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하지요. 그래서인지 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요. 그런데 우리는 돈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없으면 하루도 살기 힘들고, 어느 누구나 많이 갖고 싶어하 ...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과학동아 l200301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이 첫 개봉에 이어 두번째 개봉에서도 겨울철 극장가 인기몰이에 나서고 있다. 두 영화는 접근성과 파급 효과가 크다는 영화의 특성을 살려 판타지라는 장르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에게 마법을 거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두 영화는 판타지 소설을 한번도 읽어본 적이 ...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과학동아 l200208
- 지난 4월부터 6월초까지 전북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 앞바다에서 12세기경 고려청자 2천3백여점이 대량 인양됐다. 우연히 한 어부의 눈에 뜨여 그 존재가 확인된 비안도 앞바다의 고려청자. 비안도 앞바다는 말 그대로 청자의 보고(寶庫)였다. 2002년 4월 25일, 고려청자 확인 사실이 언론을 통해 처음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