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인
기술자
기술가
기술공
기공
기사
d라이브러리
"
기능공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
과학동아
l
201703
적다”며 “특정 인물의 공로를 찾기는 더욱 어렵다”고 말했습니다.1960~1970년대 여성
기능공
은 ‘공순이’라고 비하 당했지만,경공업 발달의 진정한 일등공신이었다.1970년 노동운동가 전태일의 분신자살을 계기로 이들의열악한 환경과 낮은 임금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회복실 만들고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12
이 대학의 설립을 추진했던 곳은 노동부.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은 공고를 졸업한 산업계의
기능공
들이 계속해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기술대학을 설립하라고 노동부에 지시했다. 공고 출신인 대통령은 누구보다도 공고 졸업생들의 학력 콤플렉스를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때마침 서독 ... ...
주경야독 유학으로 키운 엔지니어 꿈 38년
과학동아
l
199706
것을 알게 됐다. 유학 프로그램은 미군 장교부인들이 전쟁 후 한국의 참상을 보고 젊은
기능공
을 데려다가 집안일도 시키면서 야간에 직업교육을 시켜 한국의 어려움을 일부나마 덜어주려는 의도였던 것이다. 서로의 이해부족에서 일어난 일이었지만, 끊임없이 공부하게 해달라는 필자를 후원자인 ... ...
8개 국책 공대 총정보
과학동아
l
199410
한 전남공대 화학공학과를 각각 특성화 공대로 지정, 육성했다. 이어서 77년에는 우수
기능공
양성을 목적으로 충남공대 공업교육과를, 79년에는 전북공대 금속·정밀기계공학 계열과 충북대 토목·건축공학계열을 특성화 공대로 추가 지정했다.특성화공대 지정 이후 각 대학은 그동안 많은 우수한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07
콜럼비아가 1차 2차 비행을 한 것을 의미함). 2호에서는 현재까지도 우주왕복선의 핵심
기능공
이라 할 수 있는 로봇팔이 첫등장했으며, 대기오염 측정장치 등 각종 지구 관측기구가 실렸다. 또한 무중력상태에서의 최초 식물실험이 시작돼 이후 우주동식물실험의 첫테이프를 끊었다. 처음 ... ...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
과학동아
l
199205
것이다.기능대학 설립에는 반대가 무척 많았다. "
기능공
들이 무슨 대학을 갑니까?" "
기능공
들이 다니는 학교를 정규대학과 같은 급으로 대우를 해 준다고요?" 문교부에서는 훈련소라는 명칭 이상은 양보할 수 없다며 적극 반대하였다. 아마 내가 교수출신이 아니었으면 대학에서 반대데모도 일어났을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04
기술이 나타났다. 로봇들도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고, 공장장로봇(컴퓨터) 작업반장
기능공
검사원 등으로 나누어졌다. 공장자동화가 시작된 것이다. 공장작업의 전산화는 공장의 운영에 획기적인 발전의 전기를 마련 해주었고, 다른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보장해주는 마술과도 같은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01
백방으로 연구프로젝트를 팔러 다녔다.하지만 당시 기업가들의 의식수준은 "일본에서
기능공
몇사람 데려오면 되지 연구는 무엇때문에 하느냐"는 식이었다. 그러니 기업이 자기 돈을 투자하고 본전을 찾으려는 기업가의 생리를 이용해 연구소를 운영한다는 방침에 많은 이들이 회의를 가질 수밖에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12
새 집에 맞는 시설물로 바꿔 설치할 수 있다."기존의 벽돌은 시멘트가 필요하고 숙련된
기능공
이라야 제대로 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한번 시공하면 해체해 옮길 수도 없어 조립식 벽돌을 생각하게 됐다."그는 합성수지로 만든 벽돌에 석분(돌가루)과 모종의 화공약품을 섞은 액체로 표면처리를 해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
과학동아
l
199003
자기 공부보다 교수가 맡아 온 연구프로젝트에 더 많은 시간을 빼앗겨 자신이 '
기능공
이나 심부름꾼이 아닐까' 착각하는 때가 있을 정도라고 고백한다.서울대 자연대대학원자치회장을 맡고 있는 송대권군(물리)의 고민은 요즈음 이공계엘리트들의 일반적인 수준을 잘 대변해 준다."주위에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