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할퀴기
문지르기
삭감
언쟁
입씨름
깎음
긁음
d라이브러리
"
깎기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05
만큼이나 나노기술의 종류도 광범위하지만 근본 원리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깎기
와 쌓기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알면 나노기술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 ...
[지식] 자급자족 어부 라이프, 삼시세끼 어촌편3
수학동아
l
201612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삼형제에게는 암묵적인 규칙이 있다. 이서진은 잘하는 감자
깎기
와 마늘 까기, 꽁치 김치찌개 끓이기와 밥 짓기 말고는 요리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삼시세끼 출연 전까지 단 한 번도 요리를 해 본 적 없는 윤균상은 채소 손질과 같은 허드렛일만 한다. 따라서 채소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4
따뜻한 공기를 품을 수 있는 공간이 많아 보온 기능이 뛰어나요. 실제로 겨울 철, 양털을
깎기
전과 후 양의 체온은 5℃나 차이가 난답니다.가늘고 촘촘해서 따뜻하다! 거위털우리가 겨울철에 많이 입는 옷 중에 하나가 바로 ‘패딩 점퍼’예요. 패딩 점퍼는 속에 충전재를 넣어서 만든 점퍼를 말해요. ... ...
[과학뉴스] 자라나라, 머리카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2
8일 후부터 발모제를 바른 부위에서만 털이 자라나기 시작했고, 불과 3주 만에 털을
깎기
전 상태로 돌아왔지요. 이후 연구팀은 사람의 두피를 쥐에게 이식한 후 같은 실험을 반복했어요. 그 결과, 사람의 두피에서도 마찬가지로 발모제를 바른 부분에서 머리카락이 활발하게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08
20 이하인 수가 됩니다. 이때 두 직선의 교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파인애플
깎기
달인이 알고 있는 자연의 법칙달인이 깎아 놓은 파인애플을 관찰해 보았어요. 놀랍게도 어떤 파인애플은 왼쪽 나선 방향으로, 또 어떤 파인애플은 오른쪽 나선 방향으로 홈이 파여 있었지요. 깎는 사람이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덩치가 세 배나 컸어요.슈렉이 너무 무겁고 북실북실했기 때문에 특별히 초빙한 양털
깎기
챔피언이 슈렉의 몸을 데구르르 굴려가며 털을 깎아야 했어요. 보통 메리노양 한 마리가 1년 동안 만드는 털의 양은 4.5~15kg 정도지만, 슈렉에서 벗겨낸 털의 무게는 무려 27kg! 성인 남성용 양복을 20벌이나 ... ...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09
뿜어져 나오는 광채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다양한 모양으로 다이아몬드를
깎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다이아몬드는 팔면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정팔면체로 깎아 냈다. 하지만 생각만큼 아름다운 빛을 내지 못했다. 이에 사람들은 윗부분을 조금씩 깎아 내기 시작했다. 그 ... ...
어과동이 선정한 2006 최고의 과학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자주 가는 주부들을 생각해 만든 여성용발명품. C자 모양으로 예쁜 손톱을! 보카스 손톱
깎기
지레의 원리를 이용해 손톱을 깎는 대로 날이 이동하는 편리한 손톱깎이. 손톱이 예쁘게 깎이지 않거나 발톱을 깎느라 허리를 무리해서 굽힐 일이 없다. 특허청이 주최하고 발명진흥회가 주관한‘2006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08
유형이다. ‘론머맨’의 엔젤로 박사는 가상현실을 연구하는 과학자다. 그는 옆집 잔디
깎기
총각인 죠브의 정신지체를 치료하기 위해 자신의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인해 죠브는 무시무시한 괴물이 돼버린다. ‘더 플라이’의 세스 박사는 순간이동 장치에 들어온 파리와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04
사각형이나 원형의 안테나를 만들기는 쉽다. 하지만 포물면의 경우 그 모양을 정확하게
깎기
가 어렵다. 이를 위해 상당한 시간과 돈이 필요하다. 때문에 큰 접시를 만들지 않고 여러개를 복합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경제적이다.그런데 최근 전파망원경의 포물면을 만들기 위해 깎아내기가 아닌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