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판"(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09
- 달 궤도 안착목표시기: 2019년발사체: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특징: 하드웨어의 ‘끝판왕’ 전통 우주 강국인 미국은 차세대 발사체인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 위 사진)’을 이용해 ‘오리온(Orion)’ 우주선을 2019년 달 궤도에 안착시키는 ‘탐사 임무(Exploration Mission)-1 (이하 EM-1)’을 계획하고 .. ...
- [매스미디어]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수학동아 l201705
- 나선다. 모험도 모험이지만 팬들이 2편을 기대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우선 마블 시리즈의 끝판왕인 타노스의 음모와 강력한 힘을 지닌 인피니티 스톤에 관한 단서가 등장하지 않을까 기대된다. 또, 1편에서 던진 떡밥, 주인공 스타로드의 아버지의 정체가 드러날 것 같다. 팬들이 여러 가지 추측을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04
- 있다는 것을 살펴봤다. 마지막 화에서 소개할 영장류의 사회 시스템은 그 중에서도 ‘끝판왕’이라 부를 만하다. 굉장히 고도화된, 놀라운 체계이기 때문이다. 일명 ‘알람콜’이라고 부르는 소리경보 시스템이다.침팬지나 고릴라, 오랑우탄 등 대형 영장류를 제외한 영장류는 여러 종류의 ... ...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과학동아 l201702
- 이뤄져 있고, 각 세포마다 하나의 맛을 감지하는 맛 수용체가 있다.조화로운 맛의 ‘끝판왕’ 감칠맛단백질은 물 다음으로 우리 몸에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의 혀는 단백질의 감칠맛을 느끼도록 진화했다. 하지만 단백질 자체는 분자가 너무 커서 맛 수용체가 느끼지 못하고 단백질의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10
- 연구를 펼쳐 나갔다.장소불문 수학 삼매경헝가리 출신의 에르되시 팔은 공동연구의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다. 에르되시는 평생 25개국을 여행하면서 485명의 수학자와 함께 연구했고, 1475편의 논문을 남겼다. 평생 50편만 남겨도 대단한 수학자인데, 70세가 넘어서도 1년에 5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09
- 이런 쥐는 일반 쥐와 다른 생리활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장내미생물 연구의 ‘끝판왕’은 장내미생물을 질병 치료에 이용하는 것이 아닐까. 특히 최근에는 건강한 사람의 장내미생물을 환자의 장 속에 이식하는 ‘대변 미생물 이식술(FMT, fecal microbiota transplants)’까지 나왔다. 국내에서 직접 FMT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08
- 정말 머리에서 산소가 다 빠져나가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대전 스포츠과학센터의 ‘끝판대장’을 넘기란 만만치 않았다.원일 군과 재우 군은 대전 송강중 역도부 선수다. 7월 14일, 이들을 포함한 12명의 역도 선수들이 체력 측정을 위해 대전스포츠과학센터를 찾았다. 1월에 이어 두 번째 방문이다. ... ...
- [INFO] 새 책_배경으로 숨어버린 것들에 대한 애정과학동아 l201605
- 공부하면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진다”고 이야기한다. 기자가 보기에 재료과학은 그 ‘끝판 왕’이다. 책을 읽고나면 당신의 주변을 구성하는 알록달록한 재료들이 ‘매직아이’처럼 하나 둘 튀어나와 와글와글 말을 걸 것이다. 인류의 필요와 욕망이 복잡하게 얽혀 탄생한 자신을 좀 봐달라고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4
- 등장해 인간 게이머들을 긴장시키고 있다.해커들이 길 터준 인공지능 연구보드게임의 ‘끝판왕’인 바둑을 정복한, 구글이 다음 도전 대상으로 꼽은 것은 RTS게임인 스타크래프트다.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벌써부터 별의별 말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현재 연구 상황부터 알아야 논의를 진행할 수 있을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03
- 낙담한 이 학생은 혼자 도서관에 틀어박혀서 진화이론을 독학하게 된다.집단 선택설의 ‛끝판왕’이 등장하다생물학적 적응을 설명할 때 별생각 없이 개체 선택과 집단 선택을 편리하게 오가던 생물학계는 1962년에 이르러 커다란 분수령을 맞게 된다. 스코틀랜드의 어느 조류학자가 집단 선택설을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