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노선"(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11
- 방(房)’은 집(戶)에 있는 네모난(方) 공간, 즉 ‘방’을 나타낸답니다.서울의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2호선만 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어요. 이처럼 동그랗게 이어져 계속 돌고 도는 것을 ‘순환(循環)’이라고 해요. 그래서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순환선’이라고도 부르지요.옛날 병사들은 적이 몰래 ...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09
- 넘었다. 모든 노선에 건설할 수는 없겠지만, 100개국에 한 노선씩 설치한다고 가정하면 노선 당 건설비를 10조 원으로 잡았을 때 1000조 원에 이르는 막대한 시장이다. 한국처럼 땅이 작은 나라가 하이퍼튜브를 먼저 개발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누가 먼저 시속 1200km를 달성하고 차세대 초고속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09
- 타는 경우도 있던데, 나는 그럴 생각도 안 들더라. 버스가 자동주행이 먼저 적용된 건 노선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지. 택시라고 그렇게 안 되겠어? 조만간 가야 될 장소만 입력하면 택시도 그렇게 될게 뻔한데, 그 짧은 기간 동안 자존심 좀 세워보겠다고 택시 운전으로 갈아 타? 오히려 걱정되는 건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01
- 비행기가 주로 미국 동부와 서유럽 사이 노선에 몰려 있었지만, 점점 세계 곳곳의 노선에서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2050년에는 비행기구름이 전 세계에 걸쳐 많아질 뿐만 아니라 권운도 훨씬 두껍고 빈번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했다.권운에 의한 글로벌디밍은 대기오염과 만나 더 커질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12
- 생각은 거기서부터 출발했다. 매직으로 그은 붉고 미끈한 선을 따라, 거미줄처럼 이어진 노선을 따라 심상이 기차처럼 달렸다.‘샤먼’의 폭격 속에 숨겨진 잠재심상, 선지자, 예지자, 구원자, 구도자, 새 시대, 희망, 빛, 변화, 진실, 거짓 없는 시대, 하나 된 마음. 좋은 심상은 저쪽에 두고 부정적인 ...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11
- 선으로 그리고 연결점을 정확히 표시하면 어떨까요? 어느 길로 갈 수 있는지, 또 어느 노선이 가장 짧은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죠. 이 방법을 머릿속에 잘 저장해 놓으면, 아무리 복잡한 지도를 보더라도 빠른 길을 금세 찾아낼 수 있을 거예요.컴퓨팅 사고는 이렇게 주어진 문제를 논리적으로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09
- 역할을 한다. 이 자석을 벗어나 일반도로를 달릴 때는 버스처럼 운행이 가능하다. 유연한 노선선정이 가능한 것이다. BRT는 레일은 없지만 전용도로가 있다. 기존 버스와 달리 도로 신호체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하철과 같이 정거장에서만 정차한다. 현재 세종시 전역과 인천 청라-계양 지역 등에서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09
- 수명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수백 년 정도로 길다. 때문에 터널을 철거한 사례는 아직 없다.노선이 바뀌어 용도가 사라진 폐 터널은 터널의 특징을 살려 다른 목적으로 이용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폐 터널 92개 중 16곳이 재활용되고 있다(2015년 ‘매일경제’ 조사 결과). 재활용되는 터널은 자전거 ... ...
-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과학동아 l201609
- 승객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하게 해 최적의 노선을 설계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대전의 버스 수송분담률을 30%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슈퍼컴퓨팅 서비스 위한 최고의 지원군KISTI 슈퍼컴퓨팅응용실 소속 과학자는 슈퍼컴퓨터를 사용하는 연구팀을 지원하는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06
- 따르는 인격체”라는 이마누엘 칸트(1724~1804년)의 생각도 인간 존엄성에 대한 데카르트의 노선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과학의 역사는 인간의 지위에 대한 이런 인식을 거스르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오스트리아의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1856~1939년)는 인간의 순진한 자기애가 세 번의 중대한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