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변
난문제
d라이브러리
"
대사건
"(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양띠 독자가 양띠 해에 양 기사를 실어달라는 1만 명 서명운동을 벌인 거예요. 이런 ‘
대사건
’ 앞에서 어과동이 가만 있을 수 없죠! 편집부에서 유일한 양띠 기자와, 어과동에서 양을 꼭 보고 싶은 양띠 독자가 만나 양에 대한 궁금증을 파헤치기로 했어요. 함께 가 보실래요?양 기사 서명운동 사건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09
폭발이 1604년이었기 때문에 20세기 현대천문학이 확립된 이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대사건
이었다.천문학자들은 지난 24년 동안 초신성 1987A에 벌어지는 일들을 면밀히 관측해왔다. 그 결과 폭발의 중심부에서 엄청난 양의 먼지가 만들어져 사방으로 흩어짐을 확인했다. 지난 20여 년 동안 형성된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07
느끼는 미세한 진동이고 진도 XII는 물체가 하늘로 던져지는 경천동지(警天動地)할
대사건
이다.이번 지진의 경우 발생지점에 가까운 울진 지역은 진도 V(5)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지진을 느끼고 많은 사람들이 잠을 깨는 정도였다. 반면 서울에서는 진도 Ⅱ로 소수의 사람들만이 느낄 수 있었다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12
진화는 그 이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일어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몇차례의
대사건
들이 생명의 진화에서 ‘비가역적인 진보적 혁신’을 몰고 왔다고 봐야 하지 않겠습니까?메이너드 스미스(D팀): 도킨스 교수님이 방금 전에 분수령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셨는데, 저도 생명의 진화에서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06
인식되고 있었다. 그런데 1977년 심해 생물학 역사에서 매우 중요하고 흥미로운
대사건
이 일어났다.미국의 과학자들이 심해잠수정 앨빈호로 남태평양의 갈라파고스섬 북동방향 3백20km 지역을 탐사하는 중 수심 2천7백m 심해바닥에서 수백℃에 이르는 열수를 뿜어내는 분출구를 발견했다. 그런데 ... ...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200009
있는 독립된 외부은하임을 증명했다. 이것은 우주의 규모가 순식간에 확장되는 역사적
대사건
이었다. 그뒤 1952년 독일계 미국 천문학자 월터 바데가 세페이드 변광성의 거리척도 오차를 바로 잡아 안드로메다은하의 거리를 2백20만광년으로 밝혀냈다. 한편 망원경으로 안드로메다은하를 처음 보면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06
생각하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면 어떨까.인류의 생활 수준을 껑충 뛰어오르게 만들
대사건
임에 틀림없다.로봇은 인간의 추론능력을 어디까지 따라왔을까.어떤 성에 작은 연못이 있었다. 그 연못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물고기들이 살고 있었다.어느날 성안에 불이 났다. 그 소식이 연못에 전해지자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03
대혜성 햐쿠다케가 투반 바로 옆에서 지구와 가장 가까워져 밝고 긴 꼬리를 보여주었던
대사건
의 중심지이기도 하다.황도에 위치한 사자한편 북두칠성 국자 손잡이가 시작되는 부분에 있는 델타(δ)별과 감마(r)별을 연결해 계속 천정 쪽으로 이어가면 사자자리의 감마별인 알기에바를 지나 알파별인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02
약 1백50억년 전의 사건이었다. 태양, 지구, 생명체, 그리고 인간의 탄생 모두 이 순간적인
대사건
으로부터 시작된다.놀라운 점은 대폭발이 결코 단 한차례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우주 탄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우주에서는 무한히 많은 대폭발이 되풀이되고 있고, 이로부터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12
이처럼 소행성 의 발견은 세계적인 안목에서 볼 때 매우 흔한 일이며, 더구나 역사적
대사건
처럼 떠들 일은 아 니라는 것이다. 다음 목표는 혜성그 대신 이번 소행성의 발견을 계기로 우리나라 아마추어천문계의 지속적인 발전과 천문학에 대 한 대중적인 관심을 키우는데 힘을 모아야한다는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