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달"(으)로 총 1,63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이 입자들은 처음에는 매우 느린 속도로 움직이다가, 점점 속도가 붙어서 지구에 도달할 때쯤에는 초속400~500km의 매우 빠른 속도를 내요.태양풍은 항상 지구로 날아오지만, 다행히도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풍을 막아 주기 때문에 평소에는 큰 피해가 없어요. 일부 입자들이 극지방으로 들어가 오로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진짜 지구가 평평하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선 계속 걸어가다 보면 땅의 가장자리에 도달해 낭떠러지로 떨어지고 말 거예요. 또한 서울에서 오후 1시에 햇빛이 직각으로 비추면 같은 시각 바르셀로나에서도 똑같이 햇빛이 직각으로 비추어야 해요. 지구는 평평하니까요! 하지만 실제 그 시각의 ...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09
- 전략들의 조합을 찾고자 한다. 왜 내쉬 균형이 중요할까. 일단 내쉬 균형에 어떻게든 도달하고 나면, 각 경기자는 혼자서 일탈을 시도해봤자 자기만 손해다. 결국 모두 자기 전략을 고수하므로 내쉬 균형이 계속 유지된다. 예를 들어, 대학생 철이와 준이가 이번 주말에 홍대에서 만날지 강남역에서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09
- 있다. 리치 흐름을 계속 진행하다 보면 더 이상 흐름을 진행시킬 수 없는 ‘특이점’에 도달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이 개념을 최초로 생각해낸 해밀턴은 특이점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하지만 페렐만은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이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파고들었다. 그 결과 페렐만은 ...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09
- 300m밖에 사용하지 못했는데, 이론적으로는 2km를 더 가속시키면 시속 1100km에 도달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100년 전 꿈 되살린 일론 머스크진공 상태의 터널 안에서 달리는 열차에 대한 아이디어는 사실 100년도 전에 나온 개념이다. ‘해저 2만리’를 쓴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의 아들인 미쉘 베른이 188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08
- ”“상관이 없다니요. 한쪽 생명체가 완전한 승리를 이루든지 아니면 어떤 평형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우리는 이 행성에서 살지 못합니다. 생각해보세요, 어느 순간에 멀쩡한 공기가 갑자기 독성으로 바뀔지 모르는데 그곳에서 살 수 있을까요?”선장은 무표정했다. 뎀베는 불안해졌다. 뭔가 잘못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08
- 간섭무늬를 확인하는 장치인 광각 마이컬슨 간섭계(빛살을 두 갈래로 갈라 검출기에 도달할 때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쇄·보강간섭 여부를 확인하는 원리)였다. WINDII는 낮과 밤 동안 중간권(고도 100km)~열권(고도 250km)에서의 바람, 온도, 그리고 대기광의 세기를 잰다. 1991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UARS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08
- 암(Cancer)을 유발할 수 있죠. 다행히 자외선C는 오존층에서 대부분 걸러지고, 지표까지 도달하는 것은 주로 자외선A와 자외선B입니다. 자외선차단제는 이 둘을 동시에 막아내야 합니다. 따라서 차단 효과를 따질 때는 커버할 수 있는 자외선 스펙트럼이 얼마나 넓은가도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
- [과학뉴스] 거대한 인공 태양이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최대 3000℃ 이상의 고온 환경을 만들 수 있지요. 이곳에 모이는 에너지는 지구로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1만 배가 넘는 양이랍니다.독일우주센터의 태양 연구소에서는 이 에너지를 이용해 수소와 같은 친환경 연료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에요. 수소는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07
- 1조개 이상의 광자가 포함돼 있다. 도청자가 정보를 일부 빼서 9990억 개의 광자가 도달한다 해도, 디지털 통신의 수신기는 빛 정보가 일부라도 도착하는 순간 ‘1’로 정확히 인식한다. 도청자가 10억 개의 광자에 담긴 정보를 빼냈는지 여부는 모르는 것이다.그런데 양자암호는 다르다. 양자암호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