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뜰"(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 수학경시대회수학동아 l201708
- “바로 신세계 호의 수학경시대회! 우리 학교가 참가하는 건 당연하고, 곧 공고가 뜰 테니 다들 준비 잘 하도록!”“우와!”“드디어 내 실력을 보일 때가 왔구나!”순식간에 반 분위기가 떠들썩해졌다. 아이들은 환호했고, 어떤 아이는 격투기 경기에 나가는 것처럼 주먹을 불끈 쥐며 소리를 질렀다.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08
- “6월 첫 날부터 7월 첫 날까지, 그러니까 태음월(보름달이 뜬 날부터 다음 보름달이 뜰 때까지의 기간)이 끝나고 달이 빛을 내지 않는 다음 주기가 시작될 때, 보름달이 떴을 때와 거의 비슷한 정도로 밝은 밤을 경험했다. 그 빛은 지평선 전체의 원형을 따라 매우 또렷하게 보였고, 천구의 모든 ... ...
- Intro. 수학은 지금 산업 문제 찾아 ‘열일’ 중수학동아 l201707
- 바빠! 수학이 세상 문제를 해결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에너지부터 스포츠, 수자원 문제까지 수학과 무관하다고 여겼던 분야에서 수학을 필요로 하는 일이 많아졌거든요. 세상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한다는 소문에 여기저기서 ‘산업수학’을 외치고 있습니다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06
- 조금도 자세를 바꾸지 않았다. 그는 이 항성계의 이중성이 지평선 아래로 가라앉고 다시 뜰 때까지 그 자리에 앉아 기다릴 수 있었다. 꼭 필요한 경우라면 가 있는 앤트워프 행성의 시간으로 열흘 동안 꼼짝도 하지 않고 그 자리에 머무를 수도 있었다. 그가 가장 먼저 몸에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06
- 아니었다. 플라스틱 원통 안에 든 딱딱한 조각은 새로 개발한 인공 뼈였다. 물에둥둥 뜰 만큼 구멍이 많았는데, 강도는 기존 인공 뼈보다 높다고 했다. 책상 위에는 손바닥 만한 크기의 알루미늄 호일이 놓여 있었다. 그런데 그냥 호일이 아니었다. 양쪽에 전선을 물리자, 회로 가운데에 연결된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06
- 중략).설 소장 : 이제 깨어날 거예요. 하나 둘 셋하고 이마를 ‘탁’ 치면 눈을 뜰 거예요. 그런데 아직 일어나진 못 할 거예요. 지금 자세가 너무 편해서 그래요. 내가 일어나라고 이마를 두드려야 일어나게 될 거예요!설 소장의 진행에 맞춰 30여 분이 지난 뒤 일어섰다. 결론을 말하면 진짜로 ... ...
- Part 1. 수학으로 본 작은 세상수학동아 l201703
- 수지는 수영을 잘 하잖아? 아니, 곤충처럼 몸이 작아졌으면 소금쟁이처럼 물 위에도 뜰 수 있어야 하는 거 아냐?”도윤이는 식탁 위에 고인 물 웅덩이를 향해 다가가 물 위로 취재 수첩발을 내딛었다. 그런데 발이 물에 닿는 순간 웅덩이가 몸을 빨아들이는 듯한 느낌이 들더니 그대로 빠져 버렸다. ...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과학동아 l201702
- 서있는 어업인들이었다. 날씨 얘기가 한창이었다.“이렇게 바람불면 바다 나가도 (김을) 뜰 수가 없고. 별수 없제.”라고 김명규 충남 서천 김양식 협회장이 말했다. “겨우 두 줄 뜨고 1시간 동안 (하도 흔들려서) 걍 서 있었제라.” 새벽 4시에 바다에 나갔다 돌아왔다는 어업인 이상용 씨가 말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곳’을 뜻하는 말이 됐어요.한편 부양은 ‘가라앉은 것이 떠오르다’라는 뜻이에요. ‘뜰 부(浮)’와 ‘날릴 양(揚)’이 더해져 만들어졌지요. 그 중에서 ‘부(孚)’는 물을 나타내는 ‘수(水)’와 알을 나타내는 ‘부(孚)’가 합쳐진 글자예요. 새가 물위에 떠 있는 모습이 알을 품을 때 엎드려 있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쌓을 저(貯)’의 왼쪽에는 재물을 뜻하는 ‘조개 패(貝)’가, 오른쪽엔 그릇을 본뜬 ‘뜰 저(宁)’가 있어요. 옛날엔 조개껍데기가 화폐처럼 쓰였어요. 그래서 ‘패(貝)’로 돈이나 재물을 나타낸 거예요. 그 뒤에 ‘저(宁)’가 합쳐져 ‘재물을 그릇에 모아두다, 쌓다’를 뜻하게 되었답니다.한편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