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롤"(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 속 동물 찾기] 파리를 죽이는 유독식물 파리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곤충 ‘파리’와 관련된 풀이에요. 파리풀에는 ‘렙토스타치올 아세테이트’와 ‘프리마롤린-Ⅱ’가 들어 있어 살충작용을 하거든요. 옛 어른들은 파리풀의 이런 특성을 활용해 살충제를 만들었어요. 짓이긴 파리풀과 파리가 좋아하는 당분이 풍부한 밥알을 섞어 화장실 주변에 두는 거예요. ...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09
- 탓이기도 하다. 그 이유 가운데 하나로 롤모델 부족이 꼽힌다. 어떤 직업에 대한 롤모델의 존재는 학생들의 직업 선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중·고등학생에게 큰 영향을 주는 과학교과서에조차 여성과학기술인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노태희 서울대 화학교육과 교수팀이 2014년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09
- ‘과학자 엄마’ 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과학을 좋아했거나 좋은 롤모델을 만나 이공계로 진학하더라도, 여성들은 또 다른 큰 산에 직면하게 된다. 바로 육아와의 ‘전쟁’이다. ‘엄마’가 된 많은 여성 과학기술인들이 지금도 아이를 키우느라 연구 현장을 떠나고 있다. 어떻게 해야 과학자와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06
- 무력화시키는 효소를 만드는 전략을 쓰는데, 이 세균을 죽이는 최신 항생제는 세프타롤린이다. 그런데 대한감염학회에 따르면, 이 두 가지를 포함해 텔라반신, 피닥소마인신 등 6종의 최신 항생제가 한국에 없다. 이형민 팀장은 “최신 항생제가 없는 것은 해외 제약사가 우리시장에 공급하지 않은 ... ...
- [과학뉴스] 헤어롤과학동아 l201704
- 않고 늘어나는 경험 한 번쯤 해보셨죠? 따라서 잘 변형되는 젖은 머리카락을 헤어롤에 감고 말리면 효과가 좋습니다. 이때 드라이기로 열까지 가하면 금상첨화입니다. 모발은 열가소성이 있어 용융점 이하의 온도에서는 열을 가할수록 유동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그러나 이런 컬은 일시적입니다.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08
- 했는데, 86세에도 총명함을 잃지 않고 연구에 대한 얘기를 하셨다”며 “선생님은 내 롤 모델”이라고 말했다.선생님과 함께 했던 칼텍은 최고의 연구 환경이기도 했다. 민 교수는 “칼텍은 작지만, 모든 연구팀이 각 분야의 리더였다”며 “어떤 분야에 맞춰 사람을 뽑는 게 아니라, 좋은 사람을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그때의 우리는 오락을 하기 위해 오락실에 모였단다.*MMORPG : 대규모 다중사용자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줄임말. 온라인으로 연결된 여러 플레이어가 같은 공간에서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게임을 말한다.조이스틱으로 즐기는 네모난 세상88년에는 게임을 하려면 . ...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어린이과학동아 l201601
- 비어 있거나 돌돌 말린 모양이라 도넛이나 롤케이크가 떠오르지요. 그래서 ‘스노우 롤러’, ‘스노우 도넛’ 등으로 불린답니다.두루마리 눈은 눈, 바람, 기온 세 가지 기상 조건이 모두 맞을 때 생겨요. 먼저 얼어 있는 땅 위에 소복하게 쌓인 눈이 필요해요. 이때 쌓인 눈은 습도가 높아 센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10
- ‘충격과 공포’. 축주의 첫 인상은 꼭 그랬다. 숨이 턱 막히는 덥고 습한 공기는, 그래도 예상한 바였다. 짧기로 유명한 활주로에서 비행기는 문자 ... 내가 꿈꿔온 미래 그대로다”라고 말했다. 최 군은 최 연구원의 노트에 “박사님은 제 롤모델이에요. 나중에 꼭 다시 봬요”라고 적었다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10
- 곤충학자가 되기로 결심했고, 중학교 3학년 때 풀벌레 종류를 연구하겠다고 정했다. 그가 롤모델로 삼는 김태우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의 이야기가 주효했다. 우리나라의 유일한 풀벌레 전문가인 김 연구사는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선택하는 게 좋다”고 했다. 어리여치는 풀벌레 중에서도 가장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