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룬드"(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먹이의 경로를 예측해서 사냥하는 잠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경로를 예측해 사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와 스웨덴 룬드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잠자리가 사냥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어요. 실험실에서 먹이와 비슷하게 생긴 물체를 다양한 경로로 이동시키면서 잠자리의 뇌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을 확인해 본 거예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여느 차와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어요. 지난해 스웨덴의 에릭 룬드벅 선수는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시속 130.63km로 언덕을 내려가 기네스북 신기록을 세웠지요.“1, 2, 3, …, 9초”미션카드를 본 오로라는 번개가 치고 천둥 소리가 울리기까지 시간을 잰 뒤 말했어요.“번개가 ... ...
- [과학뉴스] 아이 적게 낳은 여성이 오래 산다?과학동아 l201607
- 평균수명이 6년 더 짧았다. 남성의 평균수명은 자녀의 수와 상관관계가 없었다.볼룬드 박사는 보도자료에서 “사망 패턴의 변화를 조사할 때 출생률과 성별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인구 구성이 변함에 따라 남녀의 기대수명 차이가 지금보다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을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02
- 곳에서 해야 한다’고 말하는 친구가 있다면 이제부턴 거리를 두는 편이 좋겠다. 스웨덴 룬드대 리카드 쿨러 교수팀은 영국, 스웨덴, 사우디아라비아, 아르헨티나 등 네 개 나라에서 총 988명을 대상으로 실내 조명이 기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실내 조명이 어두울수록 부정적인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08
- 몸 구조를 자세히 보면 사라진 뺨 뼈 외에도 도마뱀과 공통점이 많다. 2010년, 스웨덴 룬드대 요한 린드그렌 박사팀은 보존상태가 뛰어난 모사사우루스류인 플라테카르푸스의 화석을 보고했다(아래 2). 이 화석에는 모사사우루스류의 피부를 덮고 있는 비늘의 흔적이 보존돼 있었는데, 서로 겹쳐진 ... ...
- 숨어있던 115번이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19
- 3, 115, 117, 118번 원소는 발견이나 예측은 됐지만 정식으로 인정받지 못한 상태예요.스웨덴 룬드대학교 더크 루돌프 교수팀은 숨어 있던 원소 가운데 115번 ‘우논펜튬’을 찾았다고 발표했어요. 우논펜튬은 2004년 러시아와 미국 공동 연구진이 입자 가속기를 돌려 찾아낸 원소 중 하나예요. 하지만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09
- 코펜하겐으로 돌아온 분광학자 한스 한센은 보어에게 뜻밖의 조언을 했다. “스웨덴 룬드대의 뤼드베리가 빛띠선의 규칙성에 대해 매우 상세한 연구를 했다”며, “발머의 공식을 찾아보라”고 조언한 것. 1885년 스위스의 요한 발머는 수소원자의 흡수스펙트럼선의 파장들 사이에 독특한 수열 ...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06
- 되돌리는 데 성공했다.이것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다. 2011년에는 말린 파르마르 스웨덴 룬드대 교수가 인간의 피부세포를 줄기세포로 되돌리지 않고 곧바로 신경세포로 바꾸는 실험에도 성공했다. 파르마르 교수팀은 최근 뇌 안에서 피부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꾸는 실험에도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 ...
- 은하수는 쇠똥구리의 네비게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04
- 있어요. 하지만 시력이 약하기 때문에 작은 별빛만으로 방향을 찾기는 어렵지요. 스웨덴 룬드대학교 마리 테크 박사 팀은 쇠똥구리를 천체 투영관에 넣고 관찰해, 은하수 같이 무리를 이룬 별빛 아래에서 길을 잘 찾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쇠똥구리는 은하수만 희미하게 보일 때도 길을 잘 ... ...
- 왕눈이 대왕오징어 “눈이 커야 살아남아요”과학동아 l201204
- 감안하면 커도 지나치게 크다. 대왕오징어 눈이 지나치게 큰 이유는 무엇일까.스웨덴 룬드대의 댄 에릭 닐슨 연구팀이 3월 15일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대왕오징어는 천적인 향유고래를 피해 살아남기 위해 ‘왕눈이’로 진화했다.어둡고 깊은 바다에서 빛을 많이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