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매개"(으)로 총 4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감시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말라리아, 뎅기열 등 모기는 무서운 질병을 옮기는 ‘질병매개곤충’이에요. 전세계 각국에서는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1년 중 언제 어떤 모기가 나타나는지, 실제로 병원균을 갖고 있는지 등을 감시하고 있어요.그런데 시민들도 직접 휴대전화를 ... ...
- [가상인터뷰] 화학물질로 곤충을 조종하는 야생 담배?!어린이과학동아 l201711
- 식물의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는 사례”라고 말했어요.화분매개자 동물들이 식물의 수정을 도와 주는 동시에 알을 낳아 공격하는 경우는 많다고 해요. 고통받는 식물들에게 한 가지 물질로 수정과 방어를 동시에 하는 우리 전략을 알려 주고 싶네요. 이제 곧 박각시 나방이 올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식물을 심는 경우가 많아요. 이런 식물은 익숙하지 않은 먹을거리이기 때문에 화분매개자가 접근하기 쉽지 않답니다.”하천 속에 펼쳐진 아름다운 생태계4월 22~23일에는 경기 공릉천과 왕숙천에서 민물고기 현장탐사도 열렸어요. 성무성(순천향대), 김정훈(한림대) 어벤저스가 이끄는 민물고기 ... ...
- [Issue] 길고양이가 살인진드기 옮긴다?과학동아 l201709
- 사망했다고 7월 25일 밝혔습니다. 과연 길고양이는 바이러스를 옮기는 무시무시한 매개일까요? 길고양이는 확실히 공범인가? 이번 사건에 전세계가 떠들썩한 이유는 포유류인 동물과 사람 간 전파 사례로는 처음이기 때문입니다. 2년 전 SFTS 환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 감염된 사례는 있었지만, ...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대원들은 1년간 즐겁고도 안전하게 탐사를 진행할 것을 다짐했답니다.4월 22일부터 화분매개자를 시작으로 봄 현장교육이 진행될 예정이에요. 올해도 전국에서 즐거운 탐사 소식이 들려오길 기대할게요~!※ 현장교육과 개별 탐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잉~! 꿀벌의 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어요. 미국 하버드공중보건대학교 사무엘 마이어 교수팀은 화분매개자가 없다면 전세계 과일의 22.9%, 채소의 16.3%, 견과류의 22.9%가 사라지고, 그 영향으로 한 해에 140만 명 이상의 사람이 사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답니다.이에 일본 산업기술총합연구소의 ... ...
- [Focus News] 햄버거병, 햄버거는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708
- 9세 이하의 어린이였다.O157이라는 낯익은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햄버거가 유일한 매개체가 아니다. 오염된 소고기가 주된 원인이지만, 살균되지 않은 우유, 조리도구나 요리사의 손등에 의해 2차적으로 오염된 채소 등 다양한 경로로 병균이 침투할 수 있다. 처음 병균이 밝혀진 계기가 된 ... ...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08
- 장갑, 바지 등 개인 물품에서 나온 DNA, 세탁 후 옷에 잔존해 있는 DNA, 범죄 행위를 했을 때 매개체를 통해 남겨진 DNA의 양과 세포 유형을 조사했다. 범죄 행위에는 교살을 했을 때 피해자의 목에 남겨지는 범죄자의 DNA와 쓰러진 피해자의 바지를 잡아 끄는 등의 행동이 포함된다. 시젠 박사는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6
- noncoding RNA)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많은 RNA는 DNA가 단백질을 만들 때 유전 정보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Xist는 특이하게도 단백질을 만들지 않고 RNA 그 자체로 일합니다. 실제로 여자 배아의 발달 초기를 보면, 두 X염색체 중 무작위로 선택된 하나의 염색체에서 Xist RNA가 만들어집니다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05
- 이는 낮은 온도에서 화학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상식을 뒤집었다.분자가 얼음을 매개로 화학반응을 일으켜 변화했다니 낯설게 느껴지지만, 이것은 지구 중심적인 생각이다. 확률로만 따지면 기체보다는 고체인 얼음에서 반응이 잘 일어나기 때문이다. 원자들이 기체상태로 만나 분자를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