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민감함"(으)로 총 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그림을 그리는 대장균?!어린이과학동아 l201712
- 그림을 그리는 대장균이 등장했어요! 최근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마치 사진을 찍듯이 보여 준 이미지를 그대로 그려내는 대장균을 만들어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유전자 변형 기술을 이용해 빨강과 초록, 파랑의 빛을 인식하면 각 색깔에 맞는 색소를 생산하는 대장균을 만들었어요. ... ...
- [과학뉴스] 살아 있는 대장균이 들어간 운동복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12
- 더운 여름엔 조금만 운동해도 땀이 나요. 이때 입고 있는 옷이 알아서 땀을 식혀 주면 얼마나 좋을까요?최근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연구팀은 스스로 구멍을 열어 땀을 증발시키는 똑똑한 운동복을 개발했어요. 이 운동복에는 다양한 크기의 덮개가 달려 있어요. 피부의 온도와 습도가 증가하 ... ...
- [Focus News] ‘살충제 계란’ 공포, 계란 계속 먹어도 되나과학동아 l201709
- 살충제 계란 공포가 8월 국내를 강타했다. 8월 18일 현재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 산란계 농장 1239곳의 계란을 조사한 결과 49곳에서 살충제 성분이 과다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살충제 성분별로는 비펜트린 37곳, 피프로닐 8곳, 플루페녹수론 2곳, 에톡사졸 1곳, 피리다벤 1곳이다. 계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09
-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과학을 좋아했거나 좋은 롤모델을 만나 이공계로 진학하더라도, 여성들은 또 다른 큰 산에 직면하게 된다. 바로 육아와의 ‘전쟁’이다. ‘엄마’가 된 많은 여성 과학기술인들이 지금도 아이를 키우느라 연구 현장을 떠나고 있다. 어떻게 해야 과 ... ...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08
- 유전자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유전 정보를 바꾸는 ‘후성유전학’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DNA에 메틸기가 붙으면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DNA 메틸화’가 그 사람의 연령이나 생활 습관을 기억한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다(4파트 참조). 과학수사에서도 이런 좋은 정보를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08
- 현대인들의 자외선차단제 사랑은 유별납니다. 365일 맑을 때나 흐릴 때나, 어떨 때는 두 시간에 한 번씩도 바르곤 하니까요. 하지만 이렇게 애용하는 자외선차단제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미국에선 사용자의 절반이 라벨의 의미조차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는 재밌는 통계가 있던데요. 몰라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08
- 의뢰가 들어온 증거물에는 혈흔과 함께 조직의 일부가 붙어있었다. 조직에서 채취한 DNA의 메틸화를 분석하면 어느 조직에서 유래했는지 알 수 있다. 과연 옷장 뒤에 묻어있던 살점은 X의 것일까. 어떤 조직에서 온 것일까.- 혈흔 분석 의뢰를 받은 Y 교수 # 일 년 전 X가 살던 집민정과 X는 어떤 관계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07
- 엔진 속 최적의 비율사람이 섭취한 음식은 소화기관을 거쳐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로 바뀐다. 자동차가 섭취하는 음식이 가솔린, 디젤 같은 연료 또는 전기라면 소화기관은 바로 ‘엔진’이다. 엔진은 화학, 전기에너지를 자동차 바퀴를 회전시키는 에너지로 바꾼다.소화기관이 크고 튼튼하면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07
- 후각이 예민해 아주 옅은 향기라도 잘 맡고, 서로 다른 냄새를 잘 구분하는 사람을 ‘개 코’라고 부른다.다른 사람들은 전혀 분간이 되지 않는 냄새를 척척 맞히는 모습이 마치 마약을 탐지하는 훈련견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상식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람 코의 능력이 ... ...
- Part 3. 슈퍼카에서 하이퍼카로수학동아 l201707
- 인공지능 슈퍼카 나올까SF영화에서나 보던 자율주행자동차의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전광민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는 “2020년이면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되기 시작해 2030년이면 완전히 상용화될 것”이라고 말한다.슈퍼카도 이 흐름에 발 맞추고 있다. 2015년 3월 독일의 자동차 제조업체 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