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성공]
d라이브러리
"
번창
"(으)로 총 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과학동아
l
201706
이점 덕분에 유럽으로 기술이 활발히 전파된 시기이기도 하다.◀ 로마 시대에 가장
번창
했던 도시, 폼페이에 있었던 빵집과 화덕의 모습. 79년에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했을 때, 사람들과 함께 화산재에 파묻혀 본 모습대로 남았다.이어 로마 시대에는 상업적으로 협동조합(guild)이 생기고 대중을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01
사람은 진리를 내다볼 수 있다고 믿었다. 기원전 12~6세기 경 지금의 이란 지역에서
번창
했던 페르시아왕국에서는 승리의 상징으로 수탉의 볏을 본뜬 왕관을 제작했고 이후 많은 왕조가 이를 모방했다. 과거 닭은 진리와 승리의 상징이었다.최근 들어 적색야계의 후손들은 다른 의미에서 ‘신의 ... ...
세상에서 가장 슬픈 향기, 커피로드
과학동아
l
201302
남미 북쪽의 마르티니크 섬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몇 년 뒤 커피 수확에 성공하며 크게
번창
하지요.그런데 고립된 이 섬에서 약간의 변종이 만들어집니다. 커피도 작물이니 육종을 했겠죠. 이 종이 바로 티피카예요. 티피카 커피는 자메이카를 거쳐 멕시코와 베네수엘라 등 중남미 여러 나라에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01
행해진 인터뷰에 따르면 이들은 이제 신들도 역시 태어나고 죽으며, 자손을 낳고
번창
시킨다고 이야기합니다. 한때는 나지도 죽지도 않고 눈과 코와 입이 없는, 팔다리도 없는 기묘한 혼돈의 신들이 살았으나 이제는 아버지 하늘과 어머니 대지 사이에서 태어난 수많은 신들이 울고 웃고 싸우고 ... ...
2012 올해의 과학책
과학동아
l
201212
놓치기 아까운 수작들이다.(이 책들은 과학동아 편집부에서 선정했다.)1. 인구 70억,
번창
하는 인류, 사라지는 동물2012년은 지구의 인구가 공식적으로 70억 명을 넘어섰다는 이야기와 함께 왔다. 생물이 성공했는지를 판가름하는 요소 중 하나는 얼마나 많은 자손을 오랜 세대에 걸쳐 여러 곳에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09
대기 중에 충분한 양의 산소도 있어야 한다. 약 4억 년 전 삼림이 대륙을 뒤덮을 만큼
번창
한 것으로 미뤄보면 엄청나게 많은 생물 화석이 나타나는 6억 년 전에서 4억 년 전 사이에 오존층이 형성됐을 것이라 추정된다. 이러한 오존층의 출현으로 육상생물이 나타나고 육상생물들은 더욱 번성해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01
있었는데 왜 최근에 이렇게 문제가 될까.“정상적인 생태계라면 덩굴식물이 이렇게
번창
하지는 못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온 국토가 개발 열풍에 시달리다 보니 생태적으로 취약한 곳이 많아졌어요.”예를 들어 4대강 공사로 파헤쳐진 강 주변에 새로 풀과 나무를 심어 가꿀 때 가시박은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12
지구환경이 생명체의 탄생과 진화에 깊은 영향을 주었고 과거 지구환경 변화가 생명체의
번창
과 갑작스런 멸종의 주된 요인이었을 것이다. 최근에는 인간의 활동 즉 온실가스의 증가가 지구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지구에 광물이 4500개나 있는 이유지구와 생명의 공진화를 연구하기 위해 10월 3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09
그리고 한반도에 자생했죠.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시대에는 아마 지금보다 저희가 훨씬
번창
했었겠죠. 연꽃을 자세히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제가 생각해도 정말 꽃이 특이하게 생겼습니다. 꽃 한가운데가 마치 샤워꼭지를 위로 향하게 붙여놓은 것 같으니까요.사실 이건 ‘꽃턱(화탁)’, 즉 꽃의 ... ...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7
포르투갈의 약탈자들이 값진 상품을 실어 날랐다. 인도양과 남중국해를 오가는 가장
번창
한 무역길이었으며 난파선도 많다.래피드 호1811년 중국 상품을 사려고 엄청난 주화를 싣고 미국을 떠난 래피드 호는 호주의 암초에 난파됐다. 선장은 배에 불을 질러 배의 위치를 감추려고 했다.인도네시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