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설가
연사
연설자
강연자
d라이브러리
"
변사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
과학동아
l
201611
있다면 누군지 특정하는 게 비교적 쉽겠지만, ‘김’ 씨나 ‘박’ 씨라면 이 정보만으로
변사
자의 신원을 확인하긴 어렵다는 뜻이다. 시체는 있는데 DNA가 없다? 유가족의 DNA 정보를 확보해도 DNA 검사를 통해 신원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바로 시체로부터 DNA 정보를 얻지 못할 때다.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과학동아
l
201610
뜻이다. 치아를 통해 법의인류학적 감식을 하는 사람을 법치의학자라고 한다. 치아는
변사
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피해자로 추정되는 사람이 생전에 찍어놓은 엑스선 사진을 구할 수만 있으면 시체의 치아 엑스선과 비교해 동일인인지를 바로 판단할 수 있다. 요즘은 치과 ... ...
[Knowledge] FBI 요원도 모르는 ‘시체 수습 매뉴얼’
과학동아
l
201608
비닐 가방에 담아 실험실로 옮겨왔다. 그런데 운반하는 동안 시체에 있던 구더기들이
변사
체를 백골화시킨 것이다. 더 이상의 수사가 힘들었다. 현장에서 볼 수 있는 것을 실험실에선 다 볼 수 없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최근 미국에서는 법의인류학자들이 범죄 현장에 나가 수사관들과 공조하는 일이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07
의한 손상과 동물에 의한 손상을 분간해낼 수 있다.우리나라에서 백골 상태로 발견되는
변사
자의 수가 1년에 100명이 넘는다. 이들 가운데 아무도 동물의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단언하긴 힘들다. 따라서 뼈에 남은 흔적이 모두 사람에 의해 발생했다거나 그 반대로 동물에 의해 발생했다고 성급히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05
안쪽의 순서로 부패가 일어나게 된다. 이런 간단한 사실을 알고 있다면, 야외에서 발견된
변사
체가 추운 겨울을 겪은 시신인지 그렇지 않은 시신인지를 추론할때 도움이 된다.박테리아의 활동으로 몸속에는 황화수소나 메탄과 같은 가스가 쌓인다. 빠져나갈 곳이 없는 이 가스 때문에 시신은 한동안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
과학동아
l
201604
배스 교수다. 그는 1977년 한 사건을 의뢰받았다. 파헤쳐진 무덤 속에서 턱시도 차림의
변사
체가 앉은 채로 발견됐다. 배스 교수는 시신의 부패 상태를 보고 그 시신이 죽은 지 1년이 채 안됐을 거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시신은 1864년 남북전쟁 당시 사망했던 윌리엄 샤이 대령으로 나중에 밝혀졌다. ... ...
Intro. 바다의 셜록에 도전하다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02
132구(41%)가 자살인지 타살인지, 사고사인지 구분할 수 없는 죽음이었다. 수중시체는 다른
변사
체에 비해 신원과 사인을 밝히기가 유독 어렵다. 그동안 물속은 과학수사의 영향력이 닿지 않는 오지였다. 최근 이 철옹성에 균열이 생겼다. 물에서 증거를 찾는 ‘수중과학수사’가 움을 틔우고 있다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02
계속 촬영만 한다. 감식과정 전체를 기록해야 법정에서 증거 능력을 인정받기 때문이다.
변사
체를 발견하면 손을 대지 않고 시체낭에 담아 공기주머니로 들어올린다. 물에서 나오자마자 시체를 검시하고, 증거물에서 지문과 유전자를 채취한다. 이런 일련의 PSD 교육과정을 들여와 우리 현실에 맞게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02
녹록치 않다. 김일평 과장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인천해양경찰서 관할 해역에서 발생한
변사
사건 중 176건에서 나온 플랑크톤 정보를 정리해 2012년 한국법과학회지에 발표했다. 김 과장은 “지역별로 플랑크톤 우점종이 달라지는 모습을 관찰해보려 했지만, 플랑크톤의 속 단위(분류상 종의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07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파리 다음은 딱정벌레파리를 연구하면 죽은 지 2주가 지난
변사
체도 사망시점을 정확히 밝혀낼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상 지나면 시점을 밝혀내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파리가 다 자라서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 2주가 넘은 시체에선 다른 곤충을 찾아야 한다. 바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