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숍"(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03
- 카스파로프가 폰(앞으로 한 칸만 움직이며 점수는 1점)들의 진출을 막던 딥블루의 비숍(대각선으로 움직이며 점수는 3점)을 제거하기 위해 자신의 룩(장기의 차와 같이 직선으로 움직이며 점수는 5점)을 미끼로 내걸었을 때 딥블루는 여기에 걸려들었다. 점수가 낮은 말은 점수가 높은 말과 ... ...
-
- [지식] 세기의 매치수학동아 l201602
- 8개 말의 위치를 임의로 바꿔 놓고 시작하는 것이다. 단 두 가지 조건이 있다. 두 개의 비숍 중 하나는 어두운 칸, 하나는 밝은 칸에 두고 킹을 기준으로 룩은 양쪽에 하나씩만 있어야 한다. 이 때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총 960개라서 피셔960이라고 이름 붙였다. 바비 피셔는 매 수를 둘 때마다 ...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02
- 여러분은 뭐라고 답하셨나요? 서울대 통계학과 학생 37명은 배우 신민아가 노트북을 들고 있는 사진을 보고 같은 설문에 응했습니다. 단, 신민아가 배우라는 사 ... 함정에 빠지는 일이 없길 바랍니다.참고 자료 : , , 조지 비숍 , 스탠리 프레서와 하워드 슈만 ... ...
-
-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수학동아 l201011
- 더 큰 가치를 가지고 있어요. 비숍과 나이트는 둘 다 폰 3개의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비숍은 나이트보다 많은 곳을 움직일 수 있어 활용 폭이 더 큽니다. 킹은 죽으면 게임이 끝나기 때문에 가치 점수를 언급하지 않고요.체스는 말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해서 이기는 게임이 아니라 킹을 체크 상태로 ... ...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과학동아 l200311
- 갖고있던 김봉한 박사의 영어 논문을 보게 됐다. 필자가 이 연구를 하고 있다고 말하자 비숍 박사도 매우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격려했고, 그 후 복사본을 우편으로 부쳐주는 성의를 보였다. 다음해 7월 중국의 수의사인 강효문을 초청하고 인턴연구원 김희경이 참여함으로써 봉한학설 ... ...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과학동아 l199506
- src라는 발암유전자(oncogene)가 존재한다는 사살이 처음으로 알려졌다. 1975년에는 비숍(Bishop)과 바머스(Varmus)가 src 발암유전자가 정상적인 세포에도 존재하는 유전자라는 것을 밝혀냈다. 이로써 발암유전자의 근원이 정상세포에 있음이 증명됐고 두 사람은 이 공로로 1989년 노벨의학·생리학상을 ... ...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과학동아 l199402
- 발견1971년 미국의 디너, RNA에서만 만들어지는 병원체 바이로이드 발견1976년 미국의 비숍, 바머스 등이 암바이러스의 암유전자와 같은 것이 세포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1980년 WHO, 천연두의 근절을 선언1980-81년 미국의 갤로 등 사람의 발암레트로바이러스인 성인T세포백혈병바이러스(HTLV-1) 발견1983년 ... ...
-
- 유전공학 6대 논란과학동아 l199311
- 유전성으로 나타나는 가족성 암의 경우를 뜻했다. 그 뒤 1976년 헤롤드 바무스와 마이클 비숍이 닭의 레트로바이러스(RNA를 유전정보로 가진 바이러스)에서 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발견, 원암유전자(proto onco gene)라 이름 붙였다. 1982년에 처음으로 사람의 암에서 암유전자가 발견된 이래 지금까지 ... ...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과학동아 l199011
- 스텔링이 핵심적인 연구를 했다고 해도 연구의 지속성문제를 놓고 볼 때 후속작업은 비숍과 바머스연구실에서 수행한 것이 사실인 것 같다. 그래서 노벨상위원회는 50인 선정위원회의 결정을 지지하기로 했다. 아무튼 이들의 발표이래 연구자들은 인간에게 암을 일으키는 40종이상의 변이유전자를 ... ...
- 그것은 유전자 안에 있다과학동아 l199002
- 체계를 아직 완성하지 못했고 암은 이 과정의 머뭇거리는 불완전을 대표하는 것이리라.비숍과 바머스가 상을 받은 연구는 우리의 지식을 응용함으로써 이 불완전을 극복할 수 있는 날에 우리를 더 가깝게 가게 했는지 모른다.The l989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went to J. Michael Bishop ...
12 다음